[업계는 지금]종합심사낙찰제, 각사별 대응은
상태바
[업계는 지금]종합심사낙찰제, 각사별 대응은
  • 정장희 기자
  • 승인 2019.05.28 2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정장희 기자=종합심사낙찰제 시행이 두 달로 접어들면서 주요 엔지니어링사는 대응방안을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당장 60% 낙찰률과 총점차등제를 시행하지 않아 저가낙찰이 속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각 사는 정책의 정상화를 바라는 동시에 자체적인 수주전략을 짜고 있다. 

종합심사낙찰제를 주관해 참여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사는 상위 20~30개사, 컨소시엄 참여가능사는 50위권 이내로 집계되고 있다. 대형사를 제외한 곳은 선택과 집중이 주요 전략이다. 종심제가 제대로 시행됐을 경우 기술점수가 0.01점이라도 높다면 가격에서 뒤집어 질 수 있는 이전과 다르게 수주로 확정된다. 때문에 각사별로 경쟁우위 사업에 대해서만 영업력을 집중시킨다는 방침이다.

건당 제안서 비용이 3,000만~4,000만원을 넘어가고 있어, 되는대로 입찰에 참여해서는 제안서 비용에 매몰될 가능성이 크다. 수주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 아무리 대형사라고 해도 모든 분야에서 완벽한 경쟁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철도, 항만, 상하수도만 해도 5~6개사가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있어, 종심제가 시행되면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도로, 수자원, 도시계획 등 상대적으로 장벽이 높지 않은 분야는 이전 입찰시스템 보다 더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대다수 엔지니어링사는 영업전이 더욱 치열해진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 때문인지 영업을 위한 전직관료를 더 늘린다는 방침이다. 그들만의 리그에 들어가지 않으면 운으로도 사업을 수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들 기술력이라는 말로 포장하고 있지만, 어차피 로비전이기 때문에 영향력 있는 전직관료를 분야별라도 구비해야 지분 10%라도 받을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전관수와 영업비용은 이전 방식에서보다 더 늘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중복도가 완화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웬만한 영향력 없이는 전관의 임금수준은 이전만 못할 것이라는게 업계의 예상이다. 굳이 전관을 PQ에 활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결국 종합심사낙찰제상에서 경쟁력은 엔지니어 확보라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아무리 영업을 한다고 해도 참여기술자, 기타기술자까지 중복도를 따지기 때문이다. 특히 단순PPT가 아닌 심층면접을 종심제가 요구하는만큼 아무나 데려다 놓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각사별로 주요 엔지니어 스카웃전쟁이 벌써부터 이뤄지고 있다. 한 중견사 대표는 “종심제하에서는 결국 핵심엔지니어가 수주를 결정하는데 키워서 쓸 만하면 대형사가 다 빼가니 경쟁력이 점점 약화되고 있다”면서 “대형사 이상의 임금을 책정해주고 되겠지만, 중견사의 능력으로는 한계가 있어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디자인팀도 강화되고 있다. 제안서 평가의 특성상 기술력과는 별개로 평가위원을 사로잡을 편집이 필요한 것. 업계 관계자는 “자체 다자인팀도 강화하고 필요하면 실력있는 외주사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특히 수주확률이 높은 사업일수록 제안서 비용을 크게 늘릴 예정”이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