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골]PQ는 만능키
상태바
[사당골]PQ는 만능키
  • 정장희 기자
  • 승인 2021.07.14 17:01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이디어 차원이지만 우수한 사책이나 분책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PQ 평가시 평균 연봉이상을 지급하는 업체에게 만점을 주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물론 대형사에 유리한 측면이 있고 평균임금의 기준자체도 모호해 업계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중소중견업체 입장만 보면 아무래도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대부분 동의하겠지만 설계능력이 우수한 엔지니어가 반드시 높은 연봉을 받는다고 할 수도 없다. 테크트리를 잘 타고 맡은 분야가 잘나가서 또는 영업능력이 좋거나 경영진과 죽이 잘 맞아 고연봉을 받는 경우도 있다. 차부장급 엔지니어가 전관보다 설계능력이 떨어질 일은 거의 없다.

정책제안자의 의도는 엔지니어의 처우가 낮으니, PQ에 임금을 녹여 연봉과 복지를 높이는 방안을 생각했을 것이다. 엔지니어링업계에 인재도 안들어오고 임금불만도 팽배하니 이렇게라도 해보자가 아니었을까. 의도자체는 선했다는 말이다.

이쯤에서 PQ항목을 펼쳐보자. PQ에는 참여 엔지니어의 자격, 경력, 학력을 규정해 놓고 신기술은 얼마나 개발하고 활용하는지, 여기에 신인도, 상생협력까지 정말 빼곡하다. 수년전부터는 신입사원을 일정비율 뽑아야 하고 여성우대나 가족친화인지까지 세세하게 명시해놓고 있다. PQ를 보면 그 사회, 그 정권의 트렌드를 알 수 있다.

엔지니어링사는 PQ 만점을 위해 또 가점을 받고 감점을 피하기 위해 막대한 행정력을 쏟아 붓고 있다. 당장 PQ팀에만 가도 여기가 출판사인지 엔지니어링사인지 분간이 안되게 PQ책자가 쌓여 있다. 만점 기준을 맞추기 위해 협단체와 정부기관을 사방팔방 찾아다닌다.

PQ-Pre-Qualification는 사전에 자격을 보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해당 엔지니어링사업을 수행하는데 이 엔지니어링사와 엔지니어가 자격을 갖췄나 사전에 보겠다는 것이다. 글로벌 기준으로 보면 핵심적인 것은 해당분야 실적과 엔지니어 이력 단 두가지다. 실적부분은 한국에 비해 허들도 낮은 편이다. 사업수주여부는 역시 제안서와 엔지니어 면접이다. 엔지니어링컨설팅의 성공을 위해 이 두 가지 말고 더 필요하게 뭐가 있나라는게 글로벌 관점이다.

연봉을 많이 주고 싶어하는 정부부처의 마음도 이해한다. 그런데 세상에 공짜로 착한일 하기가 쉽나. 설계대가는 요지부동인데 월급도 올려주고 싶고, 청년취업도 시켜주고 싶고, 가족친화기업도 하고 싶으면 합당한 설계대가를 책정해 지급해야 한다는 말이다. 아니면 전관, 영업과 같이 비엔지니어링 부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여주는 방안을 마련하든지. 최근 붉어진 BIM설계만 봐도 엔지니어링사 입장에서 대가상승없이 소프트웨어 구매 같은 비용만 발생하고 있다.

엔지니어링을 순수하게 엔지니어링으로 바라보는 입찰제도가 필요하다. 최상의 구조물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것만 평가하면 그만이다. 실적과 제안서 외에 더 필요한게 무엇인가. PQ는 최대한 단출하게 꾸리는게 맞다. 그래도 이런저런 배려와 정책을 엔지니어링업계에 투영하고 싶다면 그 항목을 PQ에 담지 말고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요약하면 제대로된 대가, 간단한 PQ, 규제가 아닌 포상이다.

정장희 엔지니어링데일리 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햇살한스푼 2021-07-16 20:03:42
제발 pq제도부터 좀 바꿔라
되지도 않는 공무원 ob들만 만점나오도록 그만하고

박용수 2021-07-15 13:39:54
제안 1
PQ : Pre-Qualification의 액면 그대로의 정의대로
사전에 자격을 갖추었는지 판단하는 기준인데
자격을 갖춘 업체들은 가격경쟁에서 일단 원점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자격기준에 들어오는 업체들은 사실 기술력의 차이가 거의 없다.

제안2
10억이하는 무조건
가격경쟁을 먼저하고
PQ를 제출하면
PQ팀의 인건비와 직간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현재 조달청은 5억이하는 거의 사후PQ로 진행하고 있는 점을 참고 하였으면 한다.

h 2021-07-15 09:57:15
매우 상식적인 부분 중에 우리나가가 기술 선진국과 다른점은, 입찰 서류상 엔지니어가 무조건 실투입! 기술회의, 실무회의 등 수시로 하는 회의는 사/분책 엔지니어 필수 참여! -- 이러한 아주 상식적인게 안되는 상황이죠 우리나라는. PQ만 좋은 전관으로 수주하고, 착수/준공보고회 등 행사수준의 회의때 얼굴도장만 찍고, 설계도서에 사/분책으로 이름 올라가는 사람과 일하는 사람이 다르죠. 사업 수행 중간중간 기술회의 등에 사/분책 안와도 된다고 오히려 발주처가 얘기하죠. 그분들 참석해봤자 기술회의가 안되고 밥만 사러 오니까. 어떻게하면 될까요? 전관이 아닌 실무엔지니어가 PQ점수가 되고 실투입 엔지니어가 되면 좋을텐데....PQ세부 내용을 만지는 사람들은 미래에 자신들이 전관후보자들인걸 아는 자들이라... ㅠ

좀만버티자 2021-07-15 09:41:41
이번 기사도 시원하게 까는 장창희기자님이시네요.

대가는 요지부동, 갈수록 행정절차만 늘어나고, 시공사가 할일 떠넘기기에 AS까지...

이젠 건설설계용역에서 건설엔지니어링이라고 바꾼다더만..
이름만 그대로고 용역 그대로죠...

용역 영어로 서비스인데 군만두도 아니고 진짜 꽁짜로 일만 합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