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세계 경제, 곧 EPC의 경제다
상태바
복잡한 세계 경제, 곧 EPC의 경제다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5.08.21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⑤ 중국 경제 휘청임, 갑작스러운 결과가 아니다
결국 세계 경기침체가 원인

현재 EPC 경제는 전방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울러 전방산업은 경제 동향을 파악하지 않고는 추세를 분석할 수도 잘못을 수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엔지니어링데일리에서는 국내외 경제 상황을 분석하고 되짚어 보는 것은 물론 EPC 경제가 보다 발전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나가도록 할 예정이다.

▼ 중국발 경기침체 이유는?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최근 중국 증시가 눈에 띄게 급락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함께 세계경제를 이끌것으로 예상됐던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세계 여러곳에도 충격파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상해종합지수의 경우 5,000p를 넘어서기도 했으나 7월 3,000p대로 급락한 이후 8월 중순 이후부터는 하루 1~2% 이상의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과 더불어 세계 경제를 이끌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이 흔들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중국 산업구조가 외부 경제에 대한 의존 비중이 높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중국은 1990년대 초 경제개방을 하며 급격한 성장을 해왔다.

특히, 세계의 공장을 자처하며 세계 각국 기업들로부터 투자를 받아 본격적인 대량생산 체제에 들어서기 시작했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수출함으로 달러를 모아 경쟁상대로 꼽히는 미국의 최대 채권국가로 등극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구조에는 가장 큰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내수시장이 크다고는 하나 아직까지 잠재된 시장에 불과한 상황이다. 반면 해외 수출비중은 높아 수출이 부진할 경우 경제 전체에도 타격이 미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남부 유럽발 경제 위기가 발생하기 전까지 중국의 미국과 유럽에 대한 수출 비중은 총 70%가 넘었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면서 중국의 수출 전선 또한 빨간불이 켜졌고 산업 전체에 검은 그림자가 퍼지기에 이르렀다.

이밖에 다른 약점은 정부 주도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 주도 산업구조의 경우 성장기에는 결정의 효율성을 바탕으로 고도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경제 규모가 커져나갈수록 시장의 흐름에 대한 반응성은 늦는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이번과 같은 세계경제 침체가 시장을 강타할 경우 산업의 구조조정과 방향성 전환이 늦을 수밖에 없어 결국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 중국은 미국과 유럽에만 70% 이상의 수출을 함으로써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 중국정부의 위안화 절하는 苦肉之策(고육지책)
 

최근 중국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위안화 절하라는 카드를 내놓았다.

이에 일부에서는 위안화 절하를 통해 수출을 늘리려는 공격적인 카드로 분석하며 향후 중국산 제품 수출 증가에 드라이브가 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실제 시장의 혼돈은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중국 정부가 기습적으로 단행한 정책이 시장에서 약발을 받지 못하는 것일까?

중국 정부가 위안화 인하 정책을 펼침에 따라 중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갔다. 즉, 예를 들어 1달러를 주고 살 수 있는 재화의 경우 1달러 미만으로 제품가격이 떨어진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인 면 뒤에 간과된 점이 있으니, 바로 수출 시장의 수요 감소이다.

즉, 수출품에 대한 경쟁력이 올라갔다고는 하나 절대적인 수출 및 수입량이 줄어들면서 정책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위안화 절하라는 카드는 마땅히 내놓을 것이 없는 상황에서 다급해진 중국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것이라는 분석도 재기되고 있다.

문제는 중국의 부진이 이어질 경우 국내 산업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전반적인 수요 감소 영향으로 좁아진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들과 경쟁을 하는 것은 물론 중국에 대한 2차 원자재 수출 또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정부가 환율 또는 금융 등을 통한 臨時變通(임시변통)의 정책이 아닌 보다 근본적인 해법 찾기에 박차를 가해야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⑥편에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