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Report]
서울시 소각장 대보수, 돈과 이해도가 성공의 가늠자
상태바
[Engineering Report]
서울시 소각장 대보수, 돈과 이해도가 성공의 가늠자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6.04.11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런던협약에 따라 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올해부터 전면금지에 들어가면서 2014년에 이어 폐기물 처리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번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전통적 폐기물 처리 방식인 매립과 소각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매립의 경우 부지 및 환경 등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면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폐기물 처리 방식이 나오지 않는 이상 소각 방식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아직까지 큰 움직임은 나오지 않고 있다.

▼ 현재 서울內 자원회수시설 상황은?
서울에는 목동 양천자원회수시설, 상계동 노원자원회수시설, 일원동 강남자원회수시설, 상암동 마포자원회수시설 등 총 4곳의 시설이 운용 중에 있다.

각 자원화 시설은 작년 한해 각각 81.4%, 76.0%, 91.0%, 83.4%의 가동률을 기록하며 일일 300~800여톤의 폐기물을 처리해왔다.

겉으로만 봐서는 별다른 문제는 없어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앞으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질 경우 각 자원회수시설의 가동률이 유지되기는 커녕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자원회수시설이 생활폐기물의 변화에 대처를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폐기물은 음식물과 일반폐기물 또 재활용과의 분리 비율이 높아지면서 소각폐기물의 열량이 높아지고 있다. 즉, 예전에 비해 잘타고 열을 많이 내는 폐기물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서울에서 운용 중인 자원회수시설이 생길 당시만 해도 폐기물의 열량은 2,000㎉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3,000㎉ 수준으로 높아졌다.

그렇다보니 현재 고령의 자원회수시설을 무작정 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두되고 있는 해법이 소각로 대보수이다.

기존 자원회수시설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소폭 확장한 후 기존 소각설비를 고열량 설비로 교체 및 가동하자는 것이다.

그나마 현재 가장 빠르게 논의가 진행 중인 곳은 마포자원회수시설로 2014년 한국종합기술이 기본계획을 세워 놓은 상태이다. 반면, 아직 3곳의 자원회수시설은 밑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있다.

▼ 문제는 돈과 인식개선
대보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그 중 가장 큰 원인으로는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꼽히고 있다.

가장 오래된 양천자원회수시설의 경우 1996년 완공시까지 투입된 사업비가 318억원 수준이었으며, 1997년 완공된 노원자원회수시설의 경우 742억원이 투입됐다.

그 후 2001년에 완공된 강남회수시설은 1,010억원, 그나마 최근에 가동된 마포자원회수시설의 경우 2005년 완공때까지 1,665억원이 들어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시점을 기준으로 대보수에 들어갈 경우 최소 초기 공사비의 0.5배에서 최대 수배의 공사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2016년 기준 전체 예산 24조2,350억원 중 4,650억원만을 기후환경분야에 편성한 서울시 입장에서는 대대적인 대보수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목동 및 노원의 경우 시설은 이미 20년이 넘었기 때문에 완공 투입됐던 사업비는 참고자료에 불과하다"며 "아직 전체적인 사업비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현재 상황을 반영해 추정할 경우 4곳의 자원회수시설 대보수에는 수천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서울시 측에서도 쉽게 사업 진행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태이다"고 말했다.

 
이밖에 사업비외에 대보수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높은 것은 바로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다.

지역사회의 설득 없이 무작정인 대보수를 단행할 경우 대보수는 커녕 자원회수시설 운용자체에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부 자원회수시설에서는 주변 지역 폐기물 반입 확대를 두고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불거진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했다.

다른 관계자는 "대보수를 진행할 경우 소각로의 효율 증대를 꾀할 수 있다. 즉, 기존에 비해 소각량을 늘릴 수 있다는 얘기다"며 "이는 다른 지역의 폐기물 반입을 늘릴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찬성할 주민이 얼마나 될지는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현재 폐기물의 상태 변화와 촉매 등의 기술개발로 이전과 같은 다이옥신 및 악취 등 소각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은 상당부분 제거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일부 폐기물 집하시설에서 계절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주민들은 자원회수시설 가동에 따른 악취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인식 개선방책 마련 또한 사업비 확보 못지않게 중요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 소각 주변 고층 빌딩이 생길 경우 대기 흐름이 방해를 받아 주변 지역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현수막.

▼ 서울시, 올해 중장기 계획 마련
아직까지 서울시는 자원회수시설 대보수에 대한 계획을 마포자원회수시설 기본계획 외에는 내놓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조만간 대보수 관련 사업에 대한 밑그림이 그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달 안으로 타당성조사에 대한 입찰을 진행해 하반기 내 착수보고 후 내년 또는 내후년에 본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타당성 조사를 위해 3억원의 예산이 반영되어 있는 상태다"며 "아직 확정된 것은 없지만 타당성 조사를 시작으로 사업 본격화가 진행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현재 사업비 확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당성 조사에서는 민자 방식, 대안부지 확보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분석해 가장 최적의 방향을 찾아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