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4주년 칼럼] 전환시대 엔지니어링은
상태바
[창간 4주년 칼럼] 전환시대 엔지니어링은
  • .
  • 승인 2016.06.03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가 창간된지 올해로 4주년이 됐다.

창간당시 엔지니어링업계는 리먼브라더스 사태와 4대강사업 이후 끊긴 SOC발주로 인해 위기감이 고조됐다.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회사청산에 업계의 안정은 요원해 보였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4년이 지난 현 시점은 상당부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물론 단종 즉 전문엔지니어링사는 턴키, 민자 등 기획제안형사업의 몰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2015년 통계만 놓고 보면 최악의 상황만은 면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이 이야기지만 지난해 반짝 실적개선은 사실상 플라시보 효과라고 봐도 무방하다. 확실한 사실은 한국의 SOC산업은 노쇠한 선진국형으로 변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500명 남짓 살고 있는 선유도에 1주탑현수교로는 세계최장인 850m 경간을 보유한 단등교가 건설되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SOC가 갈만큼 갔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결국 통일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60~90년대를 관통했던 산업화시대의 호황을 다시 경험할 수 없다는 팩트다.

대한민국 엔지니어링은 바야흐로 전환기를 맡고 있다. 선진국 엔지니어링산업 구조를 조금만 들여다 본다면 이 시기의 시나리오는 어쩌면 뻔하다. 대형사라면 국내보다 해외비중을 높이지 않는다면 생존은 불가하다. 시공사례처럼 국내 소규모 사업은 중소사에 맡기고, 해외로 올인하는 모습도 필요하다. 현PQ제도하에서는 어려운 일이지만 중견중소사는 전문화만이 답이다. 영미권의 사례에서 보듯 사실 일정부분 업계 구조조정도 불가피할 수도 있다. 

해외진출과 전문화를 위해서는 정책을 만들어내는 정부의 혁신이 필요하다. 현 엔지니어링산업은 각종 규제로 인해 정체 혹은 후퇴국면에 있다. 선진형 엔지니어링산업에서 정부의 역할을 주도가 아닌 조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민간의 창의와 효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는 철폐하고 지원은 백배 강화해야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고부가가치 산업인 엔지니어링의 성공없이 진정한 의미의 해외진출은 없다”는 말을 한지도 1년이 지나고 있나고 있다. 최고결정권자의 물음에 주무부처는 의미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4년차를 맡는 엔지니어링데일리의 고민은 부조리로 점철된 엔지니어링업계의 정상화에 있다. 그간 다소 거친어조로 정부정책을 비판하고, 업계의 불합리를 지적해왔다. 계란이 바위를 치는 겪이지만, 아주 조금의 흠집정도는 냈다고 본다. 적어도 불편부당에 대해 공론의 장 정도는 만들었지 않을까.

이쯤에서 본지는 전략을 좀 바꿀까한다. 부당함의 바로잡음과 함께, 엔지니어링의 소중함을 대중에 알리자는 것이다. 매일 끊임없이 SOC이슈가 터져나오지만,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관점에서 사안을 전할 전문매체와 전문가는 없는 상황이다. 현업에 종사하지 않는 교수, 정치인들이 SOC사안에 대해 편향된 의견을 내놓다보니, 중요 이슈에 대해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이제는 엔지니어가 의사나 판사와 같이 판결자로서 사회이슈를 진단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창간 4주년을 맞이한 엔지니어링데일리는 전환기의 엔지니어링산업의 기점에서 다시 출발한다는 마음으로 밀도있는 보도를 하겠다. 엔지니어링데일리가 초심을 잃지 않도록 엔지니어들의 조언과 질책을 부탁한다.


편집국장 김치동

.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