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세계 경제, 곧 EPC의 경제다…⑧ 역사상 유럽은 통일 대륙이 아니다
상태바
복잡한 세계 경제, 곧 EPC의 경제다…⑧ 역사상 유럽은 통일 대륙이 아니다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6.06.24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브렉시트→유로화 불안→달러화 상승→경기침체 가속화, 연속 도미노가 문제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문제로 전세계가 들썩이고 있다.

특히, 24일 국민투표에서 탈퇴가 확정되면서 경제분야는 좀처럼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5위권 경제국가라고는 하지만 영국의 EU 탈퇴가 왜 이렇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일까?

영국의 탈퇴가 금융 부문에서는 단기적인 파급효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세계 경제분야에서는 장기적인 골칫거리로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영국이 탈퇴를 공식화하기까지 2년의 유예기간이 있어 EU 탈퇴가 본격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기간동안 남부 유럽 등 다른 국가들의 탈퇴 움직임이 가시화될 경우다.

특히, 국가적 구조조정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그리스, 이태리, 스페인 등은 물론 EU를 주도하고 있는 독일 및 프랑스가 영국의 브렉시트를 근거로 탈퇴 주장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가시화된다면 EU내 경제적 불안전성 확대로 인한 투자 감소는 물론, 유로화의 안전자산으로서 가치 역시 흔들릴 수 밖에 없다. 이럴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꼽히고 있는 달러와 금 등으로 자본이 이동하게 되어 달러 강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격적인 문제가 드러나는 것은 그 이후라 할 수 있다.

달러화가 강세화될 경우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최근 회복 가능성을 내비쳤던 미국의 제조업은 해외 경쟁력을 상실해 또 다시 장기 침체로 회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양적완화를 통해 금리 및 환율 하락 외에는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한 미국 정부를 비롯해 각국 정부들의 해법 찾기 고민은 더욱 복잡해 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브렉시트 이후 예상되는 최악의 경제 시나리오 도미노

▼ 한지붕 여러가족, 독재자 나폴레옹도, 히틀러도 묶는 건 실패

유럽은 세계 제2차 대전 이후 1958부터 EEC(European Economic Community)를 토대로 하나의 유럽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어찌보면 이러한 노력은 살얼음판을 걷는 것과 다름없었다.

역사적으로 유럽 대륙은 국가 간의 끊임없는 전쟁을 치러 왔으며, 역사적으로 알렉산더, 로마제국, 나폴레옹, 히틀러 등등 수많은 독재자들이 나타나 통일국가에 대한 시도는 여러번 이어졌으나 실제 단일국가를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한 지역적, 민족적, 역사적 특성을 무시한 채 경제적인 효율성만을 부각하며 단일화를 이뤘으니 내부의 불협화음이 나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영국의 경우 2번이나 세계 대전의 상대국으로 만났던 독일에 마지막 영국의 자존심이라 평가 받았던 롤스로이스마저 BMW에 매각하는 등 1990년대 이후 사실상 제조업 주권을 뺏겼으며, 100년 전쟁 이후 항상 앙숙으로 지내왔던 프랑스마저 EU의 주도권을 가졌다는 점은 영국이 탈퇴라는 뇌관을 품어왔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여기에 그리스, 스페인, 이태리, 프랑스 등도 영국에 못지않은 뇌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유럽 단일화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이에 향후 EU 정부 및 중앙은행이 EU의 붕괴를 막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세계의 이목 또한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플랜트 및 건설분야 투자, 더 위축될 수도...

영국의 EU 탈퇴가 직접적으로 건설 및 플랜트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설 및 플랜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투자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과 더불어 금융권의 불안이 이어질 경우 투자 위축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경기침체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못할 경우 전방산업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원자재 수요 감소, 생산시설 증설 위축, 각국 정부의 재정 위축에 따른 SOC 투자 위축 등 연결고리 또한 문제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관련 업체는 물론 정부가 단기적인 진단 및 해법만 찾을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관련 업계 모두 체감하는 것과 실천하는 것을 별개로 판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향후 어떠한 대응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 역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⑨편에 계속...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