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골]협회는 왜 있나
상태바
[사당골]협회는 왜 있나
  • .
  • 승인 2019.03.13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과 관련된 대표적인 협회는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건설기술관리협회, 한국건설기술인협회다. 엔협과 관리협회는 업(業)단체로써 사업자의 이익을, 인(人)단체인 기술인협회는 기술자의 이익을 대변한다.

이익단체는 특성상 사회정의와 별개로 회원의 이익이 우선이다. 그래서인지 가끔은 무리한 주장을 하더라도 ‘이익단체니까 그럴 수 있지’하는 시선도 존재한다. 문제는 이익단체 즉 협회가 회원의 이익을 도모하지 않을 때다. 오히려 협회자체가 권력이 돼서 회원사를 어려움에 처하게 하는 일도 없지 않다. 이런 현상의 근저에는 협회 머리 꼭대기에 있는 정부부처의 입김이 있다.

단적인 예로 2017년 엔지니어를 형사처벌하자는 건설기술진흥법 개정안만해도 당시 엔지니어링업계는 4만5,000명의 반대서명부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국토부산하인 기술인협회는 참여하지 않았고, 관리협회도 참여는 했지만 내부적 압박이 상당했다. 엔협은 개정안 반대에 적극적이었다. 산업부 산하라 엔지니어링사에 실질적 이해관계가 부딪히는 사안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협회가 회원사보다 감독기관인 정부부처를 더 의식하는 것은 그들의 생존에 더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당장 협회의 수익과 명분이 되는 기술자경력관리와 법령 그리고 감독권한, 인사까지 정부부처가 상당부분 행사하고 있다.

2~3년 주기로 협회장이 교체될 때마다 각종 공약을 내세우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회원사보다 협회 이익를 생각하는 사무처에 막혀 유야무야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협회장 또한 능동적으로 업계를 개선해야 하는 목적보다 명예에 의한 순번제 즉 영전으로 생각하는 인사들도 종종 있다.

이 때문인지 실제 회원사 혹은 회원들이 현장에서 겪는 불편부당함에 대해서는 청취도 개선도 되지 않는다. 특히 80만 회원을 보유한 기술인협회는 사실상 불특정 다수를 상대하기 때문에 회원이 실질적으로 얻는 권익은 찾기 어렵다는게 중론이다. 엔협과 관리협 등 업단체도 이사급 회사 정도나 돼야 목소리를 내지 중소사는 존재감이 거의 없다.

업단체의 경우 지나치게 경영자의 목소리만을 듣는 것도 문제다. 엔지니어링업의 실질적인 오너는 사업을 쥐고 있는 발주처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엔지니어가 느끼는 실질적인 불합리는 경영자가 아닌 발주처 즉 제도에서 발생하는게 대부분이다.

정부 입장에서 경영자들의 불편부당함은 그저 업자들의 하소연인 것이다. 엔지니어가 27만이다. 엔지니어링업계 부당사례는 경영자가 아닌 표를 가진 27만이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전 엔지니어를 아우를 수 있는 협의체도 엔지니어링 업단체에서 고려해 볼 수 있지 않겠나 싶다.

얼마전 한국건설기술관리협회와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서 신임회장이 선출됐다. 5파전 경쟁을 뚫은 김연태 기술인협회장은 “회원을 중심으로 협회를 혁신해 80만 건설인의 위상을 찾겠다”고 했다.

김정호 관리협회장은 취임일성에서 “대가확보와 종합심사낙찰제 정상화를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엔지니어링 관련 협단체는 회원을 단지 회비를 걷기 위한 대상으로 보지 말고, 업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구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협회가 회장과 사무처를 위한 협회가 아닌 회비를 내는 회원들의 이익을 철저히 구현하는 것이 정의 아닐까.

정장희 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