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정 독박 수도권 연장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운영 더이상 감당 불가 선언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서울시가 향후 발주되는 수도권 지역과 연계되는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기준을 내놓았다.
9일 서울시는 향후 발주되는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연장 사업을 직결 운영이 아닌 평면 환승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발표된 정책은 경기도 지자체들의 연결 요구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건설-관리-운영 등을 담당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재정적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내놓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시는 현재 서울교통공사가 약 1조954억원 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며, 매년 5,000억원 이상 영업 손실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 사업비 1조 3,322억원 진접선, 9,909억원대 5호선 하남선, 1조3,162억원대 별내선 등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연장이 계속 추진되고 있어 재정적 손실 확대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향후 진행되는 시계 외 노선 연계 사업시 해당 지자체 등 관계기관의 재정부담 및 책임 부담 명시, 평면 환승 제도 추진, 신규 노선 건설시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시내 노선 운영에만 집중, 현재 서울 교통공사가 위탁운영 중인 노선 계약 만료시 위탁운영 중단 여부 검토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장 김승준 박사는 "서울시 대중교통은 1일 이용객만 약 1,000만에 달하고 있으나 지속된 연장에 의해 대응력이 하락하며 본선 운영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건전한 재정 환경을 바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평면환승을 도입하고, 철도 연장 방식을 새롭게 재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황보연 도시교통실장은 "시민의 이동 편리성을 위해 수도권 전체 철도망 재편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공감하며, 적극 협조할 것이다"며 "양질의 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무조건적인 연장 직결보다는 편리성과 효과성 등 운영 상의 장점이 입증된 평면 환승의 도입이 필요하다. 시민의 이동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더욱 효과적인 철도 시스템 구축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