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의사 연봉 Up↔엔지니어링은 여전히 용역업자 수준

4.7 재보궐 이후 진행된 22건 ENG 사업 중 50%가 사업성 안맞아 유찰 안심+안전+도시미래 분야 추경예산은 4,000억원대 엔지니어링 금액은 1% 미만

2021-05-27     이명주 기자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서울시장 취임 이후 공공의사 처우 및 도시정비 등 여러 사안에 대한 해법이 연일 쏟아지고 있지만 엔지니어링에 대한 대접은 여전히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27일 엔지니어링 업계에 따르면 엔지니어링사들의 서울시 엔지니어링 입찰 기피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니어링 업체들이 서울시 입찰을 기피하는 원인 중 가장 큰 이유는 개선되지 않는 사업단가 문제가 꼽히고 있다. 다른 지자체 및 공공발주에 비해 서울시 발주사업의 사업대가가 원가에 크게 못 미치면서 업체들이 입찰 참여를 꺼리는 것이다.

실제 오세훈 시장 취임 후 도시 및 교통계획, 수자원 분야 엔지니링 사업은 총 22건이 발주돼 개찰을 진행했으며, 그 중 11개 사업에서 입찰에 참여한 엔지니어링사가 없어 유찰됐다.

A업체 관계자는 "시장 취임 이후 그동안 묶여 있던 엔지니어링 사업대가가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됐다"며 "그러나 실제 발주가 진행된 사업들 중 상당 수는 수익을 낼 수 없어 업체들의 참여율이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 도시 재정비 첨병 엔지니어링사 없이는 정책도 필패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은 4조2,000억원의 추경 예산안을 내놓았다. 이번 추경안은 민생회복, 안심-안전, 도시미래 등 과제해결을 위해 진행됐다.

서울시가 발표한 성장 잠재성 및 생활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은 4,029억원이다.

하지만 대규모 추경안 발표에도 정작 엔지니어링 업체들의 참여비중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SOC 관련 분야의 경우 국가상징거리 조성계획 수립 5억원, 김포공항 복합개발사업 지원 5억원, 강변북로 재구조화 9억원, 경부고속도로 기능 고도화 6억원, 동북권 교통거점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3억원 등 총 40여억원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체 추경 예산의 0.1% 미만으로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보급 47억원, 문화 향유기회 확대 43억원, 서울형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47억원 등 단일 사업에도 못 미치는 예산이 편성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서울시가 도시경쟁력 강화를 주장하며 SOC 투자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실제 성공으로 연결되기까지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대 이하의 예산이 편성된 만큼 저가 입찰 문제가 불거져 사업 참여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시가 발표한 추경안을 살펴보면 엔지니어링 관련 예산은 매우 낮아 저가 발주가 재현될 확률이 높다"며 "도시 개발의 핵심은 엔지니어링 업계의 참여인데 사업성이 낮은 발주로 관련 업체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오세훈 시장이 취임 후 공공의료원 의사 연봉을 40% 인상하고, 최근에는 4조2,000억원대 추경을 편성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그러나 개발의 밑그림을 그리는 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한 인식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서울시 발주에 대한 참여도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