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Q중복도 “다 갖다 쓰는 지원엔지니어가 풀려야 진짜”

메인은 널널, 지원 분야는 인력난 “중복도 논의, 원점부터 다시해야”

2021-08-13     조항일 기자

(엔지니어링데일리)조항일 기자=PQ중복도 확대를 두고 정부와 업계의 입장이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구조, 토질 등 지원엔지니어에 대한 중복도를 별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3일 엔지니어링업계에 따르면 현행 200~300%로 운영중인 PQ중복도 확대를 위한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발주처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자는 반면 업계는 분야별 사책, 분책의 차등 중복도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업계는 사책, 분책의 경우 사실상 실무 업무가 배제되고 있고 복합적인 업무가 가능하다는 것을 근거로 중복도를 최대 400%까지 완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행 수준을 넘어설 경우 당초 취지인 신입 기술자 유입과 사업 부실 등의 우려로 중복도 완화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중복도 확대와 현행 유지 주장과 별개로 모든 분야에 투입되는 구조, 토질 등 일명 지원엔지니어 분야의 중복도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로, 철도, 상하수도 등 메인 영역으로 분류되는 기술자는 차고 넘치는 것과 달리 지원엔지니어는 태부족을 겪고 있는 상황인만큼 이들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중복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논의중인 분야별 차등 논의에서 지원엔지니어 분야는 빠져 있다.

실제 일부 대형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엔지니어링사들이 PQ중복도로 가장 골머리를 앓고 있는 분야가 지원엔지니어 부문이다. 모든 분야에 투입되지만 현행 중복도 수준에서는 1~2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더이상 만점 기준을 채울 수 없는 구조다. 특히 상하수도분야의 경우 CEMS 등재가 100%에 가까운 상황에서 지원엔지니어를 두고 수주 경쟁을 펼치는 부서간 내적 갈등도 더러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주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A대형사 관계자는 “제도 도입 초기에 지원기술자 특성을 고려해 해당 기술자에 한해서 중복도 확대 등의 요구도 있었다”며 “업무특성상 일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실무기술자 업무 부담 감소와 인력유입 취지에 맞지 않아 논의가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원엔지니어의 특성상 중복도 일괄 적용이 애로사항인 것은 맞다”라며 “재논의는 어렵더라도 전체적인 중복도 상향이 필요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한 B중견사 관계자는 “메인 사업의 경우 웬만한 규모의 엔지니어링사들은 이미 충분한 기술자를 확보하고 있다”라며 “현행 중복도 수준은 채우고도 남는 실정이기 때문에 400%든 500%든 중복도를 완화해도 만점기준을 맞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모든 분야에 참여하는 지원엔지니어인데, 상위 몇개사를 제외하면 사실상 모든 부서가 이들을 돌려쓰고 있는 상황”이라며 “팀마다 지원엔지니어를 두는 것은 결국 인건비로 직결되기 때문에 중소사 입장에서는 부담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계기를 통해 중복도 논의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C대형사 관계자는 “당초 취지가 업무강도를 줄이고 인력을 끌어들이자는거였는데 시행 2년이 지났지만 인력난은 그대로”라며 “전반적인 부유책 없이 수치 몇 개 바꾸는 것으로 사람이 유입될 것이라는 게 넌센스다. 제도의 문제가 아닌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