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Q개정안, 발주처 재량강화로 초점 맞춰지나
내달초 초안마련해 말경 공청회 개최해
TP, SOQ 축소방안을 담은 ‘제5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안 후속조치인 PQ개선안을 놓고 엔지니어링업계간 의견이 분분하다.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는 발주처의 재량을 확대하는 방안을 기본으로 PQ개선안을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19일 엔지니어링업계에 따르면 국토부 및 관련협회가 8월초까지 PQ개선안에 대한 업계 및 발주청의 의견수렴을 수렴하고, 8월말경 공청회를 통해 세부기준안을 확정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건설설계협회 소속 30개 엔지니어링사를 대상으로 지난 6월 과천청사 국제회의실에서 TP, SOQ 축소방안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국토부는 PQ평가 세부기준에 대한 개선안을 TFT를 구성해 도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TFT는 건화, 평화엔지니어링, 신성엔지니어링, 화신엔지니어링 등 총 4개사로 구성돼 PQ세부평가기준 및 지역공동도급 개선안을 논의했다고 업계는 전했다. 하지만 불과 4개사로 수천개에 달하는 엔지니어링사의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겠냐는 업계의 반발로 인해 의견수렴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A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상황에서 수십가지 공종별로 PQ세부기준을 마련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라며 “그렇다고 PQ세부기준을 삭제할 경우 발주청의 권한과 대형사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토부의 대안을 예의주시하겠지만, 최선안을 도출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PQ개선안 과정에서 세부기준의 제정 및 삭제와 함께 지역업체 공동도급 축소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행 제도는 지역업체를 30%, 일부지역에서는 49%를 공동도급하고 있다.
지역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지금도 대부분의 지역사업을 수도권 대형사가 모두 수주하는 마당에 최소한의 보루인 지역공동도급조차 없다면 지역업체는 고사하고 말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토부측은 이번 PQ개선안을 내달까지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기술기준과 관계자는 “엔지니어링업계의 의견이 분분하지만 PQ개정방안의 핵심은 발주청의 재량을 확대하는 것”이라며 “분야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각사업당 5~10개 가량이 경쟁할 수 있는 변별력을 확보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 구체적인 안은 24일까지 업계의 의견을 종합하고, 발주청과 협의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