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4대강 담합비리 여건 도왔나

심의위원, 국토부 수공임직원이 70%
민홍철 의원, 채점표 분석해 로비의혹 제기

2012-10-05     정장희 기자

 4대강 턴키입찰 담합에 국토부와 수자원공사가 적극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5일 국토해양위 민홍철 의원은 4대강사업 턴키입찰 설계적격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토부가 담합비리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짙다면서 기본설계 채점 집계표 등 당시 평가 점수표를 공개하며 국토부를 질책했다.
 
민 의원은 종전까지 3,000명의 전문가 풀(Pool)에서 입찰당일 무작위 추첨하던 방식하던 설계적격심의 위원을 4대강사업에서는 미리 선임했다면서 심의위원의 70%가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임직원으로 구성해 입찰 1주일전부터 공개해 건설사에게는 로비시간을, 위원들간에는 특정업체 밀어주기를 위한 교감의 시간을 줬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이 분석한 일부 공구의 채점표도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모두 5개 업체가 입찰에 참가해 현대건설이 낙찰을 받은 낙동강 22공구의 경우, 가장 배점이 높은 수자원 부문의 각 업체의 득점이 다른데도 1위 현대건설부터 5위까지 각 등위간 점수차가 정확히 드러나고 있다.
 
3개 업체가 입찰에 참가한 낙동강 24공구 역시 수자원 부문 점수의 1,2위와 2,3위간 점수차가 각각 2.4점과 3.0점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낙동강 25공구의 경우 12명 심의위원 전원이 각 업체에 부문별로 소수점 이하까지 동일한 점수를 주었다. 또한 곳곳에서 심의위원들의 무더기 점수 현상이 발견됐다.
 
민 의원은 “공정위 제재를 받게된 일부 업체는 ‘정부가 4대강사업을 빨리 완공하기 위해 사실상 공구별로 업체를 할당해 놓고 담합으로 몬다’고 항변하고 있다”면서 “채점표 등의 정황도 그점과 부합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