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지자체, 경부선철도(서울역~당정) 지하화 촉구

경부선 지하화 통합추진위원… 200만명 서명운동 돌입
“동북아시대 수도권 경쟁력을 확보해 선진국으로 도약해야”

2012-10-10     이준희 기자

경부선 철도로 인한 지역단절로 사회․문화적 분리, 기형적인 교통체계, 동․서로 분할된 도시계획 등 여러 문제가 발생됐으며, 수도권 중심지에 위치한 철로주변 발전은 동북아시대 수도권의 경쟁력 확보할 원동력이 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국회 정론관에서 ‘경부선 지하화 통합추진위’는 기자회견을 열어 경부선 철도구간 중 서울역에서 군포 당정까지 연장 32㎞구간을 조속히 지하화하라고 촉구했다.

경부선철도가 관통하는 서울 용산구,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경기 안양시, 군포시 등 7개 지자체 시민단체 연합으로 구성된 ‘경부선 지하화 통합추진위’는 “경부선 철도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진동 등으로 그동안 지역주민들이 많은 피해를 입어왔으며, 지역단절로 인한 사회․문화적 분리, 기형적인 교통체계, 동․서로 분할된 도시계획 등 여러 문제들이 있는 만큼 이를 조속히 해결해 달라”고 주장했다.

최기찬 위원장은 “일부 역사를 제외한 전 지역의 상권이 공동화되어가고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지역이 슬럼화 되어가고 있다”며 “수도권 중심지에 위치한 철로주변이 발전되지 않고는 선진국이 될 수 없을 뿐 아니라 동북아시대 수도권의 경쟁력, 나아가 국가경쟁력도 결코 확보하지 못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경부선철도 지하화 통합추진위는 이를 위해 7개 지자체 소곡 국회의원 및 단체장에게 200만명 서면운동 개진에 따른 협조를 요청하는 등, 철도가 지하화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대 시민운동을 펼칠 계획이며, 이번 18대 여․야 대선후보자들에게 대선공약에 반영토록 요구했다.

한편, 안양시를 포함한 군포, 금천, 영등포, 구로, 동작 등 6개 지자체는 최대호 안양시장을 위원장으로 ‘지하화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기본구상 용역 공동시행 협약을 지난 8월14일 체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