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신사업 엔지니어링분야 육성 절실
상태바
해양신사업 엔지니어링분야 육성 절실
  • 정장희 기자
  • 승인 2012.04.16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4조원 거대시장, 지식기반적 접근방식 필요
해양산업 특수분류를 통해 국가차원 지원

해양신산업 발전을 위해 특수산업분류와 해양산업 총조사를 시행해야 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선 전략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해양비전포럼’을 통해 제시됐다. 또 해양광구에 대해 설치산업은 발전해 있지만 엔지니어링과 기자재 분야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는 미래해양산업 창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해양비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산업, 해양생태․환경산업, 해양바이오산업 등 해양 신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국가혁신체제 구축과 해양부문 과제', '해양 신산업 현황과 정책 방향' 등을 논의됐다.

황기형 KMI 블루이코노미연구실 실장은 “특성이 없는 일반적인 산업정책만으로 행양부문 신사업을 견인하기에 부족하다”면서 “기존의 표준분류 체계가 아닌 해양산업을 위한 특수분류체계를 만들어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민관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신기술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해양산업의 클러스터 여건을 조성해 EU의 ‘Marine Knowledge 2020’과 같은 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기준 알스코 대표는 “육상광구의 고갈로 향후 2020년까지 해상광구의 의존도가 33%로 높아지고, 인류가 5,0000년을 사용할 미래연료인 하이드레이트의 개발이 요구되는 등 해양광구에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국내에는 이분야 엔지니어링사가 전무하고 FPSO나 DRILL Ship 또한 해외에서 60%를 들여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엔지니어링과 기자재는 취약한 반면 플랜트 장비건조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인 재무적투자자, 공기업, 중공업사가 Joint Venture를 이룬다면 해양강국의 기반을 닦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용환 기술경제경영연구원 원장은 “국내 해양신산업 분야는 2020년 54조, 2030년 105조원이고, 세계시장은 2천억달러로 추정되는 거대시장으로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통해 발전해야 될 것”이라며 “EU의 Marine Knowledge 2020, 중국의 해양발전전략연구소(CIMA) 등과 같은 아젠더 및 기관을 설치해 21세기 지식기반 산업인 해양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를 위해 해양신사업 투자예산 확보 및 R&D 혁신 시스템을 구축해 혁신 해양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사작성일 2011년 9월 28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