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활성화로 건설엔지니어링 산업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모두 노린다”
상태바
“PM 활성화로 건설엔지니어링 산업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모두 노린다”
  • 김성열 기자
  • 승인 2022.06.10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PM 제도 도입과 활성화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0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PM 글로벌 경쟁력 강화 포럼에서는 PM 제도 활성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해 정부와 산‧학‧연 관계자들의 세미나와 토론이 이어졌다.

PM 글로벌 경쟁력 강화 포럼 기념사진
PM 글로벌 경쟁력 강화 포럼 기념사진

이날 포럼은 김영국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과 김경주 한국건설관리학회장의 환영사와 송명기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장의 축사로 시작을 알렸다. 김영국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엔지니어링사의 도약을 위해 PM과 감리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종합건설사업관리의 도입을 추진하는 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윤상원 국토교통부 사무관은 공공공사 PM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윤 사무관은 “우리나라 엔지니어링 시장은 지속 성장했지만 건설시장의 3% 수준인데다가 대부분 설계 분야에 집중돼 고부가가치영역인 건설사업관리(PM) 성장은 미흡한 수준이다”라고 현황을 분석했다.

정부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PM 업무영역과 목적을 명확히 규정해 감리와 역할을 분리하겠다는 개선안을 제시했다. PM의 업역을 설계 전 단계부터 시공 후 단계까지 늘리고 감리는 시공 단계에만 제한해서 각 역할 마다 전문 인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또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제도를 운영하고 법체계의 접합성도 기를 계획이다.

공공공사에서 PM 발주 확대와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또 시범사업도 확대하고 이를 바탕으로 PM 활용을 위한 사업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전망이다. 공구별로 발주돼 통일성 있는 운영이 어려웠던 대규모 SOC 사업은 각 건설사업을 총괄하는 종합건설사업관리(PgM)로 발주할 수 있도록 추진하게 된다. 공공기관 자체 PM 수행 실적을 기존 실적관리시스템에 추가해 해외 진출에 있어서 힘을 더할 예정이다.

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공공‧민간 PM 활성화 및 해외진출 지원 방안으로 주제 발표에 나섰다. 김 박사는 국내 CM 활용이 낮은 이유에 대해 사업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종합건설회사 중심으로 건설산업이 구성됐고 공공발주기관이 전문기관에 의해 사업관리를 맡으면서 필요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계약제도에서는 장기계속계약, 총액단가계약 등으로 인해 공정‧원가 관리가 불필요해졌으며 발주자 성과평가체계로 인해 수행과정의 중요성을 회피하는 것도 원인으로 꼽았다. 금액 위주로 평가되는 CM 선정방식과 CM 전문업체의 역량이 부족한 것도 문제라는 입장이다.

이에 김 박사는 표준 사업관리체계 정립을 통해 CM/PM의 업무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업 착수 단계부터 사업을 정의하고 목적과 대내외 환경을 분석하는 통합 운영(Integration Management)을 체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사업관리 수행성과 측정을 위한 기준과 지표를 마련하고 DB화해서 성과를 축적해나가는 접근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해외 진출에 있어서는 종합사업관리를 법제화하고 민간 PMC와 공기업 내부역량을 강화해 선진 엔지니어링사와 비교해 경쟁력 있는 내실을 갖춰야 한다고 전했다. 사업관리 실적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기업별로 사업관리를 브랜드화하고 이런 역량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 발표 중인 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
주제 발표 중인 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

뒤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김한수 세종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주제별로 지정 토론을 이어나갔다. 첫 번째 주제로 정해진 PM과 CM의 용어 명확화에 대해서는 허근 삼우CM 기술전략팀 상무가 “PM와 CM의 용어 명칭을 명확하게 하고 업역에 따른 구분이 필요하다”면서 “건진법에서 PM을 사용하려면 PgM의 의미로 사용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유병수 국토교통부 기술혁신과장은 “기존에 사용되던 틀을 바꾸자는 것이 아니라 PM과 CM이 법적으로 정해진 용어가 아니다 보니 용어를 명확하게 하고 구분하자는 것”이라며 “PM 활성화와 이를 바탕으로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진경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센터장은 PM제도가 도입되면 “공공시장에서 발주자가 선택할 폭이 더 넓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엔지니어링업계에도 새로운 시장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대답했다. 남우성 도화엔지니어링 부사장은 “PM으로 일할 때 공사단계 이전에 사업 효율성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제도적인 보장과 같이 법안에서 업계를 배려하는 섬세한 부분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어 PM 적합성에 대해 김우영 박사는 “전문가의 판단이 들어가는 일이 많다 보니까 특정한 기준이나 표준을 정하는 게 어려울 수도 있다”면서 “PM/CM이 무슨 일을 할지는 법에서 정하지 말고 조금 유연하게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PM의 대가에 대해서는 토론 참가자들 모두 대가 상승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PM 업무의 리스크가 높은 만큼 적당한 대가가 따라와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