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그동안 기업 지원에 방점이 맞춰져 있던 엔지니어링 산업 정책에서 엔지니어에 대한 지원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한국엔지니어링협회는 지난 24일 E&E포럼 제1차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국가 엔지니어링 아젠다를 주제로 진행된 가운데 토론회도 진행됐다. 토론회서는 엔지니어링 산업의 현주소를 되짚어 보는 동시에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 등이 공론화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엔지니어링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정책적 지원이 관련업에 종사하는 엔지니어보다는 기업에 대해 초점이 맞춰짐에 따라 인력 유입을 저해하는 실질적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현재 정부와 업계서 추진하는 지원제도들이 기업의 업무처리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엔지니어들에 대한 개별 지원책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엔지니어에 대한 제도적 지원책이 부족해지면서 기존 엔지니어들의 유출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입 엔지니어의 유입은 급속히 줄어들면서 엔지니어링 산업이 사양산업 진입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김한수 세종대 교수는 “그동안 기업이 잘되어야 엔지니어가 잘될 수 있다는 인식이 컸다. 이에 그동안 많은 제도가 마련되는 동시에 개선되어 왔지만 대부분 사람보다는 기업에 대한 혜택이 주를 이루었다”며 “실례로 엔지니어링 적정대가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엔지니어가 받는 대가나 처우가 실제로 높아졌는지는 미지수이다”고 전했다.
또 “엔지니어링 산업의 쇠퇴 여부는 관련 종사자들의 유입 여부를 보면 알 수 있다. 현재 상황에 대해 단순하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업계 특히 기업이 나서 관련 문제에 대한 해법 찾기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한수 교수는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혁신에 대한 준비 상황도 지적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혁신을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만연했다. 그러나 제도란 정부와 업계가 찾은 완충 지점에 불과해 스스로 혁신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는 동시에 수동적인 역할만 하게 만드는 요인 되기도 한다”며 “기업이 무작정 제도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혁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할 시점이 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