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 LTE 스마트철도 시대 눈앞… 한국 세계 최초 선점해야
상태바
4G LTE 스마트철도 시대 눈앞… 한국 세계 최초 선점해야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3.05.13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도용 주파수할당정책 빨리 매듭져야… LTE로 철도기술자립 숙원 풀어야
무인운전 및 재난안전망, LTE통신시험 성공… 매년 6,761억원 예산 절감 가능

국내 철도업계가 지난해 성공한 4G LTE 무선통신 시험을 발판으로 스마트철도시장을 선점하고 철도기술자립이란 숙원을 이룰 수 있을지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2008년부터 4년간 철도공단이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은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철도 LTE 통신 기술과 스마트 융합기술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철도정책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병석 국회부의장, 여형구 국토교통부 제2차관, 김광재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 철도 관계자 400여명 참석해 ‘대한민국 미래 철도비전’을 모색했다.

철도통합무선망 구축해 기술자립 이뤄야… 정부, 철도용 주파수할당 서둘러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김용규 단장에 따르면 한국은 2004년 열차제어시스템 구축 시 100% 해외기술을 도입했다. 일반철도는 스웨덴 Bombardier社, 고속철도는 프랑스 Alstom과 Anslado에서 도입했으며 광역철도는 노선별로 상이한 국외 시스템을 도입했다.

철도통신시스템도 일반철도는 음성통신만 가능한 VHF, 고속철도도 음성통신만 가능한 VHF, TRS-Astro, TRS-Tetra를 사용 중이며, 광역철도 또한 VHF, TRS-Tetra, 2.4G ISM 대역을 활용 중이다.

이에 대해 조현룡 의원은 “그간 철도기술 부족, 철도R&D추진 지연으로 철도시설과 기술의 불균형 상태가 지속됐다”며 “노선확장, 선로개량 시 기술적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운영 및 유지보수 부문은 지나치게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세계 철도시장을 주도하고 수익창출의 철도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철도 통합무선망 구축이 시급하다”며, “철도용 주파수 할당을 위한 정부의 정책결정이 하루 빨리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용규 단장도 “정부가 철도용 주파수 할당을 서둘러야, 국외 의존에서 벗어난 100% 국산화 열차제어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며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는 열차자동운전, 도시철도는 무인자동운전을 적용해 속도 및 환경에 무관한 국산화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4G LTE와 철도기술의 만남… 세계 최초로 스마트철도 시대 열어 중국 견제해야
김 단장은 세계 최초로 4G 이동통신 LTE를 철도에 적용함으로써 고용량 데이터, 음성, 영상 정보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Digital 철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LTE 기술로 인해 실시간으로 차량 및 선로변 설비를 감시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열차 운행, 환승, 도착지 정보 등 다양한 승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유선을 활용하면 복수의 노선별로 각각의 터널이 필요하지만 무선을 활용하면 1개 터널로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노선 간 연계 운행, 선로용량 증대로 최대 63%까지 선로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 의원은 차세대 철도 무선통신기술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LTE를 적용해 철도 통합무선망을 구축한다면, 철도수송용량 증대, 탄소배출 절감, 에너지 절감, 해외시장 진출확대 등의 결과, 매년 6,761억원 가량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홍순만 원장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대불선 일로-대불 10km 구간에서 무인운전과 재난 안전망을 LTE 무선통신 시험에 성공했고 지능형 철도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다.

또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원주-강릉구간에 시범 적용하고, 고속철도까지 LTE 기반 철도전용 통합 무선망을 적용할 계획이다.

홍 원장은 “세계철도연맹이 추진하는 워킹그룹에 한국과 함께 아시아권에서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는 중국의 고속철도 경쟁력을 주시해야한다”며 “시급히 LTE주파수를 확보해 우리가 먼저 실용화에 성공해야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소극적 SOC투자, 일본의 침략부정 빌미제공… 경제성만으로 철도사업 중단하면 안 돼
한편, 지난 18대 국회 때 국토해양위원장을 지낸 이병석 국회부의장은 “철도 등 SOC가 최고의 대국민 복지”라며 “PMAC은 B/C가 낮아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철도사업을 중단시키는 것은 재고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의장은 “일제강점기 일본 주도로 3,300km의 철도인프라를 구축했는데 해방 후 단지 300km정도만 연장했다”며 “이런 소극적인 SOC투자가 일본이 침략을 부정하고 식민국의 근대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는 빌미를 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