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산업부는 육상 400억달러 < 해양 200억달러?
상태바
<기자수첩>산업부는 육상 400억달러 < 해양 200억달러?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3.07.16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명주 기자
산업통산자원부가 플랜트 시너지를 위해 육상플랜트와 해양플랜트를 통합 조선해양플랜트과를 신설한지 4개월이 지났지만 해양플랜트에 쏠림현상은 그대로다. 해양플랜트에 대한 정책이 육상플랜트에 비해 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정부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해양플랜트 지원사업만 30여개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 반면 육상플랜트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육상플랜트와 해양플랜트 산업간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아닌 당장 창조경제와 부합하기 위한 정책만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의 경우 3차원적 움직임을 고려해야 하는 선박 구조에 플랜트가 올라가는 형태다. 즉,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구조로 수렴되다 보니 실제로 해양플랜트를 수주할 수 있는 업체는 3~4개 조선사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일반 육상플랜트 EPC사들은 시장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시장규모를 볼 때 2012년 기준 육상플랜트 EPC업체들의 수주액이 조선사들의 해양플랜트 수주액에 비해 200% 많은 약 40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부는 규모경제가 큰 육상플랜트 보다 해양플랜트에 집중력을 강화하고 있는 느낌을 떨쳐 버릴 수 없다.

물론 미래 해양시대를 대비해 해양플랜트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도 맞기는 하다. 그러나 미래전망만 보고 기존 큰 시장은 소홀히 한다는 것은 모순이 아닐 수는 없다.

이같은 산업부의 자세는 엔지니어링산업과 플랜트산업을 규모의 경제로 양분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육상플랜트를 전문으로 하는 EPC 업체에서는 산업부와 연관관계 보다는 국토부와 관계가 더 근접해지고 있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해외에서 진행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육상플랜트에 비해 국내에서 성과의 노출이 쉬운 해양플랜트에만 정책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4개월이라는 짧지도 길지도 아닌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기도 하다.

산업부는 육상, 해상플랜트 산업을 함께 육성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을 위해 보다 깊은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