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골>엔지니어링산업경쟁을 바라보는 관점
상태바
<사당골>엔지니어링산업경쟁을 바라보는 관점
  • 정장희 팀장
  • 승인 2015.01.22 22: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는 관련 부처나 협단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하지만 일부를 전부로 해석하는 오류와 핵심을 찌르지 못하는 논점으로 인해 그들만의 잔치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엔지니어링산업경쟁력과 관련된 논의에서 등장한 것이 낙찰률 상향, 대가상승이다. 이런저런 명분을 내세우고, 미사여구로 포장하지만 결론은 ‘더 비싼 가격에 내 물건을 사 달라’라는 말로 요약된다. 대부분의 경쟁력강화 보고서의 결론이 기승전 대가상승인 것도 사실이다. 대가상승이라는 일부를 엔지니어링 경쟁력이라는 전부로 확대해석한 오류인 셈이다.

물론 대가상승은 엔지니어링경쟁력 강화방안의 중요한 꼭지일 수 있다. 낙찰률과 대가를 높여야 엔지니어링사 경영의 안정화를 찾을 수 있고, 임금을 높여 고급인력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문제는 대가상승이 고급인력 확보나 기술투자로 이어지지 않고, 오너의 주머니로 들어가는 경우다. 수년전부터 엔지니어링업계는 경영합리화라는 미명아래 매년 큰 폭의 구조조정을 실시해왔다. 하지만 “회사는 망해도 오너는 망하지 않는다”라는 엔지니어링업계의 오래된 격언처럼 엄혹한 구조조정 정국에서도 경영진은 꾸준히 부동산을 매입하며 부를 축적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상위 20개 엔지니어링사 대부분은 임직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주가 크게 늘어는 기현상을 겪었다.

대가를 올리려면, 상승으로 인한 이익분의 재투자 계획이 선행돼야 한다. 수십년된 엔지니어링사라도 제대로된 기술연구소 하나 없을 정도로 기술투자를 외면하고, 건설사가 30년전부터 행한 해외진출을 최근에서야 조금씩 실행하는 엔지니어링사에게 누가 무작정 대가를 올려주겠는가.

선진국 사례를 봤을 때 고도화된 국가의 SOC발주가 줄어드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때문에 엔지니어링산업경쟁력을 높인다는 과제는 해외진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같다.

우선과제는 국가를 엔지니어링 현업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발주처가 모든 것을 정해주고 상세설계와 감리로 연명하는 시스템부터 바꿔야 한다. 한중일만 제외한다면 대부분 국가의 SOC정책이 작은 정부라는 틀에서 결정된다. 컨설턴트가 해당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는 방식이 주류라는 이야기다. 즉 국토부-공사가 수행하는 업무를 컨설턴트가 수행한다는 것이다.

엔지니어링이 고부가가치라는 명제는 ‘토털서비스를 제공한다’로부터 시작된다. 한국의 F/S, 기본계획/설계분야의 대가가 형편없는 것은 사실상 정부가 짜놓은 틀에서 말 그대로 용역업무만 수행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발주권한을 대행하는 PMC는 한국에서 정부의 그늘에 밀려 전혀 통용되지 못하고 있다.

선진엔지니어링사는 실시설계를 해당국 브랜치나 Joint Venture를 통해 해결한다. 실시설계가 노동집약적인 저부가가치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엔지니어링 부처와 협단체가 고민해야 하는 부분도 이 지점이다. 단순히 상세설계 대가나 조금 올리려하지 말고 고부가가치인 앞단의 영역을 정부로터 빼앗아 오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 즉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되게 계획분야에 대한 대가를 큰 폭으로 올리고, 상세분야는 외주화를 꾀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주도로 오랫동안 기형적 성장을 한 한국엔지니어링산업은 세계트렌트에 부합되지 못하는게 사실이다. 때문에 한국형 엔지니어링산업 경쟁력 확보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풀 수 없는 매듭처럼 어려운 일일 것이다.

단순하게 눈에 보이는 이득만을 찾는다면 손목을 타고 흘러내리는 피와 같이 한국의 엔지니어링산업은 점차 고사하고 말 것이다. 알렉산더의 칼과 같이 복잡한 매듭을 풀기위해서는 엔지니어링 리더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과감한 액션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