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디노믹스, 누들리졸… 각국 인프라 정책 '주목'
상태바
모디노믹스, 누들리졸… 각국 인프라 정책 '주목'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6.03.28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도 모디총리, 인프라로 경기부양… 누들리졸, 카자흐판 일대일로
베트남, 도시화율 30% 불과… UAE, 토후국별 면허 취득절차 달라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 인도 모디 총리의 ‘모디노믹스’과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전략 2050의 핵심 ‘누들리 졸’의 공통점은, “인프라개발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끌어낸다”는 정부정책이다. “정보력이 곧 돈”인 인프라시장에서 각국 엔지니어링업계가 예민하게 주시하는 정보이기도 하다.

이 같은 정보는 28일 코트라가 한국기업이 해외 프로젝트 수주 전략을 수립하는데 참고하도록 발간한 지침서 ‘세계 31개국 프로젝트 시장지도’에서 소개됐다.

코크라는 이 책을 통해 진출 유망한 31개국의 국가별 프로젝트 발주 잠재력, 프로젝트 개발 계획, 분야별 경쟁기업, 한국기업의 수주동향 등을 제시했다. 이외에 건설면허, 과실송금, 입찰, 보증, 노무관리 같은 제도적 측면 및 현지 진출기업의 애로사항과 해결책 등도 담아냈다.

▼ 인도, ‘모디노믹스’로 인프라 건설 드라이브 = ‘세계 31개국 프로젝트 시장지도’에 따르면, 2014년에 취임한 모디 총리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인프라 건설과 제조업 육성”으로 대변되는 ‘모디노믹스’를 밀고 있는 상황이다. 대도시와 지방도시를 연결하는 전력 송배전 시스템, 통신 시스템 프로젝트가 관심 대상이다. 인도 전체 건설산업 중 전력시설이 28%로 가장 크고 도로 및 교각이 19%, 관개시설이 17%를 차지한다. 신도시 건설 또한 활발하다. 인도 타밀나두주, 마하라쉬트라주, 구자라트주, 안드라프라데쉬주는 빠른 도시화로 사회기초시설 확충이 시급하다. 항만시설 건설에 대해 외국인 직접 투자를 100% 허용하는 만큼, 10년내 인도 항만투자자본의 80% 이상을 민간자본이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 태국, 태양광 발전 유망하지만 일본 따돌려야 = 태국은 도로, 항만, 철도, 지하철 등 교통인프라 발주가 많은 지역이다. 또한, 에너지 생산량보다 소비량이 세배에 이르는 에너지 순수입국이기 때문에 보유 천연자원을 적극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와 대체에너지 위주의 프로젝트가 발주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기업은 발전규모를 800MW 추가 확대하는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다만, 태국시장에서는 일본기업의 영향력이 큰 만큼 한국은 치밀한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 인도네시아 성장률 6→4%, 인프라사업으로 돌파구 = 인도네시아는 2012년까지 연 평균 6%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했지만 2013년부터 점차 하락해 2014년 5.0%, 2015년 1분기에는 4.7%까지 떨어졌다. 이에 조코위 정부는 돌파구로 외국인투자 유치 활성화와 대형 인프라개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화력발전소 건설과 도로, 항만, 공항 등 교통인프라 수요가 크다. 자카르타에서는 5000만달러규모의 북 수마트라 꾸알라딴중 항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산업단지, 항구, 컨테이너 터미널, 복합주거단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컨테이너 터미널은 빠르면 올해 안 발주될 전망이다.

▼ 베트남 30세이하 인구절반, 도시화율 30% 불과 = 베트남은 전체 인구 9,300만명 중 30세이하 인구가 절반 이상으로 안정적인 피라미드 인구구조를 보이고 있다. 또한 중산층 증가, 구매력 향상, 안정된 사회 체제를 기반으로 베트남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베트남의 도시화율은 30%대에 불과하다. 산업시설을 정비할 여지와 도시 인프라 건설 수요가 크다는 것. ‘2020년 베트남 고속도로 마스터 플랜’에 따라 2020년까지 2,200km의 도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의 신도시 건설경험 또한 베트남 주택시장에 좋은 롤 모델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전략 2050’, 中 일대일로와 연계 = 카자흐스탄은 최근 10년 동안 중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경제발전을 이뤘으며 인근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 진출의 교두보 위치에 있다. 최근 러시아, 카자흐 등 인근 5개국이 참가한 유라시아경제연합 ‘EEU’ 발족과 중국의 육상 실크로드 구축 등에 힘입어 카자흐는 미래 유라시아 허브국가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된다. 이에 카자흐 정부는 경제발전전략 2050의 일환으로 인프라 구축사업인 ‘누를리 졸’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까지 전력, 교통 인프라 구축과 경제 발전을 위해 약 26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누를리 졸은 중국 일대일로 계획의 ‘시안-알마티-모스크바 노선’과도 연계되고 있다. 

▼ 이란 주요 발주처 민영화, 정부 보증 불가 = 이란 프로젝트 시장은 경제제재 해제에 따라 기회의 땅처럼 보이지만, 프로젝트 수주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파이낸싱이 전제돼야 한다. 이란정부의 재정이 취약해 프로젝트의 상당수가 금융조달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금융기관과의 공조가 무엇보다도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이란석유회사 ‘NIOC, 이란석유화학기업 ’NPC‘ 등 석유․가스 주요 발주처가 민영화돼 있어 이란 정부의 보증을 받을 수 없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 UAE 토후국별 면허 취득절차 달라, 비용 부담 커 = UAE는 포스트 오일시대에 대비한 친환경 건설에 주력하고 있다. 아부다비에는 IT를 기반 저탄소 신도시 Masdar 시티가 있다. 이곳에서는 태양광으로 발전하고, 쓰레기를 100% 재활용한다. 두바이는 에너지원 다각화를 위해 두바이 에너지믹스 2030 계획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막툼’ 태양에너지 단지 태양광발전소 발전규모를 2600 메가와트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UAE의 비즈니스 환경은 기업친화적이지만, 토후국별 건설면허 취득절차가 달라 면허취득에 드는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큰 편이다.

▼ 카타르 석유의존도 낮아, 저유가 타격 미미, 월드컵 준비 한창 = 카타르는 인근 OPEC 회원국과 비교해 천연자원 수출 의존도가 높지 않아 저유가 시기에 재정타격을 덜 받는 구조다. 2015년 1월 기준 카타르 건설프로젝트는 2,863억달러 규모로 GCC 국가 가운데 3위다. 특히, 카타르는 2022년 월드컵을 앞두고 자원에 의존하기보다는 두바이처럼 금융·물류 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도로, 항만, 신도시 개발 등에 주력하고 있다.

▼ 영국 건설경기로 경제성장 견인, 고속철 노후역사 한국 참여 기대 = 한편, 영국은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기회가 포착되고 있다. 2015년 재집권에 성공한 보수당 정부가 금융위기로 침체된 영국 경기회복의 일환으로 건설경기를 일으켜 경제를 성장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부터 주택구매보조금 지원 정책을 실시해 영국은 전례 없는 건설시장 호황기를 구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에서는 고속철, 노후역사 개조 프로젝트 발주가 유망해 한국 기업이 참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