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식 신재생 정책, 탈원전 힘들다
상태바
문재인식 신재생 정책, 탈원전 힘들다
  • 이명주 기자
  • 승인 2017.07.10 15:3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풍력발전 대규모 발전 기술 현실적 구현 불가
일방적 정책추진 보다는 상호 조율 및 보완 절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최근 문재인 정부의 대선 공약이었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가 원전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부각되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는 대규모 발전원으로서 한계점를 극복하지 못하며 탈원전 정책의 가속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신재생 대표주자 태양광-풍력발전, 대규모 대체 자원으로 자격될까?
현재 원자력발전 대체 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태양광과 풍력발전이다. 지구의 생성 이전부터 발생한 태양에너지와 지구의 자전 및 공기의 흐름이 있는 곳에서는 언제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풍력이 환경적으로 최적화된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상과 현실이 서로 양립하기에는 조건이 녹록치 않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으로 발생하는 전력용량은 24곳의 발전소에서 약 22GW정도 생산되고 있다. 즉, 1곳의 원자력발전소에서 약 1GW 안팎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그럼 대용량 태양광발전에는 어느 수준이 되어야 할까? 업계에서는 대규모 태양광발전이 국내에서는 경험이 없어 직접적 비교는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해외 사례를 들어 대략적인 비교는 가늠할 수 있는 상황이다.

실례로 최근 쿠웨이트는 수도에서 약 100㎞ 떨어진 지역에 32㎢ 규모, 2.5GW급 대규모 태양광발전소 건설 입찰을 추진 중에 있다. 서울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종로구, 중구, 용산구 등을 포함하는 크기이며, 국내 원자력발전소 전체 발전량인 약 22GW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서울 면적 이상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오는 것이다.

▲ 현재 추진 중인 쿠웨이트 2.5GW급 태양광발전소를 서울 면적에 비교할 경우 대략 3개 구가 포함이 된다.
여기에 태양광발전의 낮은 효율은 보완해야할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에너지 효율이 20%까지 올랐다고는 하나 최적의 조건에서 기록된 수치인만큼 뚜렷한 4계절 변화가 있는 국내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대용량 발전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 현재 사용중인 국내 원자력발전소 전력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이론상 서울 이상의 공간이 요구된다.
풍력발전 역시 대용량 발전원으로 내세우기에는 힘에 부친다는 의견이 중론을 이루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풍력발전기 상당수에는 해외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공급 및 특허, 유지보수에 대한 국산화 문제가 해결되지 못해 대량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풍력발전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태양광발전과 같이 환경적 요인이 꼽힌다. 풍력발전소가 입지할 수 있는 곳이 일부 지역에 한정돼 있고, 현재 기술을 바탕으로 200MW급 발전용량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1㎢ 구역 내에 100m 높이의 풍력발전기  약 100여개를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 2MW급 풍력발전기로 200MW 발전용량을 내기 위해서는 최소 1㎢이 필요하나 사실상 이보다 넓은 공간을 요구된다.
이에 따라 사실상 원자력발전을 대체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발걸음은 대중의 기대와 달리 아직 걸음마 단계를 못 벗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에너지 정책은 급가속, 급제동이 아닌 현재와 미래의 균형을 맞추는 조율
원자력발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며 탈원전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정책적 변화는 오히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탈원전 지지층은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사태와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반면교사로 삼는 동시에 원자력폐기물 및 천문학적인 발전소 철거로 인한 비용 부담 등을 근거로 하고 있다.

반면, 반대 논리를 펴는 측은 현재 대체기술이 마련되지 못했고, 일부 선진국에서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논리로 국내 현실을 외면하고 급진적 에너지 정책 추진한다면 장기적인 부담이 국민들에게 돌아올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일방적인 정책 추진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통해 균형을 맞추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중도적 의견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학계 관계자는 "급격한 탈원전론도, 반대적인 원전론도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충분한 시간동안 상호간의 토론과 분석을 통해 문제점이 무엇인지, 해결책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만이 에너지 정책을 위한 길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휴멘지니어 2017-07-11 11:50:06
핵발전소의 대체재로 LNG발전은 어떠한지 관련 기사 부탁드려요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