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부문 기성액 비중, 10년 새 절반으로 떨어져…건설경기 안정화 필요성↑
상태바
공공 부문 기성액 비중, 10년 새 절반으로 떨어져…건설경기 안정화 필요성↑
  • 김성열 기자
  • 승인 2022.08.22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최근 10년 새 공공 부문 기성액 비중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건설경기 안정화를 위한 건설산업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공공 부문 기성액 평균 비중은 21.2%이며 지난 2021년은 20.2%로 집계됐다. 2012년 약 40%이었던 것에 비해 절반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건설기성은 건설업체의 국내공사 현장별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조사한 것으로 해당 기간의 국내 건설경기 변동 추이를 나타내게 된다. 기성 비중에 따라 건설경기 안정화 정도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2012∼2016년간 공공 부문의 기성액 비중이 실질 건설기성액의 증가 추이와 역관계를 보여 공공 부문의 건설경기 안정화 정책 기능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2017∼2021년간 공공 부문의 기성액 비중은 실질 건설기성액의 증가 추이와 함께 움직이는 양상을 보이는 등 건설경기가 불안정해지는 변동 가속화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건산연은 2021년 건설기성 디플레이터의 경우 9.3% 증가했는데, 이는 공사실적을 창출하기 위해 투입되는 물가 전반의 수준이 전년 대비 약 9% 이상 상승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기도 하다.

또 최근 5년간 명목 건설기성액은 유지 추세로 보이나 실질 건설기성액은 하락 추세로 완연하게 나타났다. 이에 건산연은 물가 수준을 고려했을 때 관련 정책당국이 건설경기 침체기가 장기간 지속돼 왔음을 인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실질 건설 기성액은 실질 건설투자로 연계되며 실질 GDP 증가율(경제성장률)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급격한 물가 변동을 고려한 발주자와 수주자 간 리스크 분담 가이드라인, 재해재난 방지를 위한 인프라 투자 등을 포함해 건설경기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