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PM이냐 CM이냐, 그것이 문제인가
상태바
[기자수첩] PM이냐 CM이냐, 그것이 문제인가
  • 김성열 기자
  • 승인 2022.06.17 13:1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성열 기자

지난주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관리학회가 함께 주최한 PM 글로벌 경쟁력 강화 포럼에서는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에서 PM 제도와 관련된 여러 의견이 제시됐다. 국토부가 나서서 PM 제도 도입을 서두르겠다고 말한 만큼, 올해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차차 PM 제도가 자리 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주제발표에 이어 토론회까지 가장 많이 화두에 올랐던 것은 PM에 대한 용어 정의 확립이다. Project Management의 줄임말인 PM은 우리나라에서 CM(Construction Management)과 혼용된다며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종합건설사업관리를 하게 되니까 PgM(Program Management)으로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법 긴 시간 이어지는 용어 정의에 대한 논의를 들으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었다. 애초에 PM은 외국에서만 사용됐고 그동안 발주처가 이 역할을 맡아와서 굳이 명확한 용어 정의가 필요 없기도 했다. 그렇다면 PM이든 CM이든 PgM이든 뭐라고 부르든지 중요하지 않은 문제다. 그 역할을 대충 발주처 대행의 줄임말로 ‘발대’라고 정해도 크게 문제 될 일은 아니다.

명칭보다 중요한 건 국내 건설 시장에 PM 제도가 현실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지다. PM의 역할을 맡았던 공기업과 공공기관, 정부 부처들이 과연 자신들의 기득권을 내려놓고 권한을 엔지니어링사에 이양할 것인가. 그리고 현재 엔지니어링사들의 수준이 PM을 온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는 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돼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도 정부의 의도는 명확해 보인다. PM 제도를 도입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고, 국내에서도 PM, PMC 실적을 쌓아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라는 것이다. 2020년도 기준 1%에 불과한 국내 업체의 해외 건설엔지니어링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 위한 정책이다. 국내 인프라 시장이 한계에 달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국내 엔지니어링사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다만 그들이 어디까지 권한을 양보할지는 의문이다. PM 제도가 도입되면 발주처는 돈만 주고 PM이 사업을 총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정말 아무런 간섭이 없을까에 대한 의심이 남는다. 그동안 엔지니어링업계가 당했던 것들을 생각해보면 나름 합리적인 의심이다. 이 부분은 제도가 도입되고 관련 법령이 제정되면서 합의점을 찾아갈 것으로 예측된다.

그렇다면 PM을 수행해야 할 엔지니어링사는 준비가 다 된 상태일까. 사업 규모와 유형에 따라 소규모 업체가 맡을 수 있는 PM 업무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소수의 대형 엔지니어링사를 제외하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엔지니어링사 중에서 설계 전, 시공, 그리고 그 이후까지 책임질 수 있는 역량을 가진 회사가 몇이나 될지는 뻔한 수준이다.

결국 명칭 논란은 PM 제도 도입 과정에서는 사소한 일에 불과하다. 관련 법령을 제정하는 자리도 아닌데 너무 디테일한 것에 매몰된 건 아닌가 싶다. 흰색 고양이든 검은색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되는 것처럼, PM이든 CM이든 일만 잘하면 되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PM 2022-06-17 13:49:33
'용역'이라는 이름 하나때문에 설계사가 어떤 일까지만 하게 되었는지를 생각해본다면 그 명칭도 중요할 수 있을 것 같아요. PM은 용역이냐 아니냐 부터 정의했으면...
PM도 "다른 사람의 위탁을 받아....."로 시작한다면 발주처의 간섭에 휘둘리게 되겠지요.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