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엔지니어링산업만 아웃사이더여서야...
상태바
4차 산업혁명 시대, 엔지니어링산업만 아웃사이더여서야...
  • 이상진 기자
  • 승인 2017.10.19 1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산업은 과도한 규제로 신기술 접목 어려워
▲패널토론 및 청중토론
(엔지니어링데일리)이상진 기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고 있다. 반면 엔지니어링산업은 규제와 관련 제도 미비로 새로운 기술로부터 고립되는 형국이다. 

2017년 제2차 엔지니어링 포럼이 19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제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개최됐다. 엔지니어링산업 종사자들은 저마다 관련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주제발표를 했다.

롯데건설 이승일 책임은 주제발표에서 건설산업 분야에 적용가능한 ‘린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책임은 “설계자 한 명의 경험과 판단에 기반해 단일 설계를 하는 기존 설계방식은 빠른 진행이 가능하지만 잦은 피드백으로 인해 공기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설계방식부터 다양한 분야의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동시공학 기반의 ‘린 설계’가 필요하다”며 “이러한 ‘린 설계’는 4차 산업혁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드론 기술을 측량기구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KG엔지니어링 지계환 사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기존 설계방식으론 토지에 산업단지를 설계하려면 길게는 7년 전에 파악된 지형자료를 가지고 설계를 해야 했지만, 드론을 이용하면 일주일 정도면 새로운 지형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가 끝나고 이어진 패널토론과 청중토론에서는 현장에서 엔지니어링산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성토가 이어졌다. 실제 현재 드론으로 측량한 지형정보는 활용할 수 없다. 드론장비가 측량기기로 인정받아야 공공측량성과심사를 통과할 수 있는데,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시행령에 GPS 등만 측량기기로 인정하고 드론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청중토론에 참여한 한 공간정보기술사는 “GPS가 한국에서 측량장비로 인정되는데 7년이 걸렸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지리정보원 등을 상대로 측량제도 변경을 요구하는 게 굉장히 어렵고 기술, 소프트웨어, 장비 등 하나의 기술이 측량장비로 인정받는 데 너무 많은 제약이 있다”며 “차라리 국회를 통한 법제화가 가장 빠른 길 같다”고 꼬집었다.

4차 산업혁명을 특정 분야 기술로 제한하는 논의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서울시립대 김현주 교수는 “BIM, 린 설계, 드론이라는 개념을 벗어나야 한다. 아마존의 무인식료품점은 거대한 설비가 아니라, 하나의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촉발된 4차 산업혁명의 사례”라며 “엔지니어링분야도 단순하지만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산업생태계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