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로드맵 나온지 벌써 1년, 현장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
상태바
BIM 로드맵 나온지 벌써 1년, 현장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
  • 이명주 기자
  • 승인 2021.11.15 17:4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IM 확대 목표 대비 교육 여건 괴리감은 확대 중
단순 3D 프로그램으로 인식한 정책 여파 실무에선 갈팡질팡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정부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2025년 전면의무화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지만 현장과의 괴리가 좁혀지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BIM 건설 분야 로드맵을 제시한 지 11개월이 됐지만 정착을 위한 기반조차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기업을 포함해 정부가 발주하는 사업들의 상당수가 BIM을 바탕으로 만든 성과품 비중을 높이는 등 정책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현재 BIM 확산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바닥 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내 교육 상황을 꼽고 있다. 

BIM에 대한 전문가가 부족함은 물론, 공인 교육기관 또는 관련 대학 등이 전무한 상황에서 엔지니어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대형엔지니어링사들 및 시공사들은 자체 전산 분야 관련 팀이 나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소프트웨어 판매사들이 진행하는 교육 등에 의존하고 있지만 제한된 교육에 머물수 밖에 없어 결과물 또한 기대 이하에 그치고 있다.

A 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대형엔지니어링사들의 경우 자체 전산팀이 나서 BIM 교육을 하고 있으며, 중소 엔지니어링사들 상당수는 교육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며 "BIM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도 없는 상황에서 전면적인 BIM 도입시 정상 결과품이 나올 수 있을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 BIM은 단순 3D 프로그램이 아닌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가상공간

업계에서는 기초적인 여건조차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으로 정부가 BIM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책을 추진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BIM이 단순 3D 프로그램이 아닌 프로젝트에 관련된 과정을 담는 동시에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개발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가상공간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반면, 정부는 BIM에 대해 기존 3D 프로그램에 비해 개선된 프로그램으로 개념을 확립 후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실제 현장과 정책 사이의 괴리감은 커지고 있다.

B 엔지니어링사 엔지니어는 "BIM은 프로젝트 전반을 담는 동시에 엔지니어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큰 마당과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며 "정부가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 교육기관이 생기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고 전했다.

이에 일부에서는 무리한 BIM 정책 추진보다는 정부가 시간을 가지고 정책 재정비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공헌한 2025년 BIM 전면 도입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정부가 나서 개념 재정비 및 전문 교육기관 설립 등을 진행해야 한다"며 "만약 지금과 같은 방향과 속도를 고집한다면 2025년이 되기 전에 BIM은 현장에서 잊혀진 기술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근육맨 2021-11-16 08:10:58
BIM정착을 위해선 설계단계에서만 방향제시할것이 아니라 갑질로 먹고 사는 발주처도 같이 해야하지요~ 적어도 BIM으로 설계했으면 모니터로 띄워서 검토정도 수준은 되어야 하는것인데... 2D CAD파일도 귀찮아서 PDF파일로 달라하는데 뭔 정착을 바라는지...
BIM은 발주처가 아닌 일반시공사와 설계사간의 이야기입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