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서울시는 공사 중인 300억원(건축공사 200억원)이상의 공공공사 현장에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되는 스마트 안전기술은 ▲원격 점검시스템 ▲중장비 접근 경고 알람 시스템 ▲근로자 위치 관제 시스템 ▲환경센서 시스템 등 4종류이며 시스템이 운영·관리되는 통합관제시스템, 모바일앱, 무선통신 시스템 등도 도입된다.
원격 점검시스템은 360도 회전 가능한 영상 카메라를 기반으로 현장을 원격으로 점검하고 위험요인을 작업자에게 경고한다. 중장비 접근 경고 알람 시스템은 포크레인 등 중장비 주변에 접근하는 근로자와 중장비 운전자에게 접근에 따른 위험을 경고한다.
근로자 위치 관제 시스템은 AP(Access Point)별로 인근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위치를 관리하고 통제한다. 환경센서 시스템은 공사현장의 산소,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감지해 전광판에 표출한다.
서울시는 지난 2월부터 국회대로 지하차도와 상부 공원화 사업 등 건설공사에 스마트 안전기술을 시범 운영 중이다. 스마트 안전기술은 먼저 1단계로 이달부터 서울시가 발주한 300억원 이상(건축공사 200억원) 32개 공사현장에 우선 적용해 도입된다.
현재 설계 중인 건설현장은 모두 스마트 안전기술이 반영돼 설계되며 오는 2023년 이후 2단계로 모든 건설현장에 도입될 계획이다. 또 고소작업 시 영상을 기반으로 추락 등 위험요소 자동 판별,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알려주는 스마트 안전고리 등의 시스템은 테스트베드를 거쳐 검토 후 도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