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오세훈 서울시장은 고밀‧복합 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에 추진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21일 발표했다.
해당 전략의 핵심은 건축물 높이 90m 이하와 용적률 600% 이하 등 기존 건축규제를 완화하고 그 대가로 얻는 공공기여를 공원과 녹지로 조성해 도심 전체를 녹지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3.7%에 불과한 서울도심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4배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종묘-퇴계로 일대 44만㎡부터 재정비를 시작한다. 이후 동-서로는 1가부터 8가까지, 남-북으로는 율곡로에서 퇴계로까지 서울도심 전체를 녹지생태도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전략으로 서울도심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신규 정비구역, 기시행 정비구역, 특성 관리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 적합한 녹지공간 확보 방안을 마련했다.
신규 정비구역은 종묘-퇴계로, 동대문‧DDP 일대 등 아직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낙후‧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곳들로 고밀‧복합 개발로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기시행 정비구역은 광화문-시청 일대 같이 이미 재개발이 끝난 구역으로 공개공지 재구조화나 벽면녹화, 입체녹화 등을 통해 녹지공간을 확보한다. 특성관리구역은 한옥밀집지역이나 인사동‧명동 등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한 구역으로 장소에 따라 녹지보행가로나 거점형 녹지쉼터 등을 조성한다.
이 중 신규 정비구역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종묘-퇴계로 재정비는 구역들을 적정 규모 단위로 묶어서 개발하는 통합형 정비방식으로 추진된다. 총 171개 구역 중 일정 기간 개발이 진행되지 않아 일몰시점이 지난 147개 구역을 20개 내외 정비구역으로 재조정할 예정이다. 이들 구역도 추가적으로 통합해 구역 규모를 키울 수 있도록 구역 간 통합도 유연하게 허용한다.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이 완성되면 연트럴파크 3만4,200㎡의 4배가 넘는 약 14만㎡의 공원‧녹지가 조성된다.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축이 형성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바탕으로 올 하반기까지 공론화와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상위계획인 서울도심 기본계획과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을 재정비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구역별 정비사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