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권 지방자치단체장, 직접 발전계획 수립 가능해진다
상태바
초광역권 지방자치단체장, 직접 발전계획 수립 가능해진다
  • 김성열 기자
  • 승인 2022.06.15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국무회의에서 초광역협력사업 지원과 신설 공공기관의 입지결정 절차 등을 규정한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안 공포에 따른 후속조치로 법률에서 위임한 세부 사항 등 관련 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오는 8월 4일 시행 예정인 시행령은 초광역권발전계획 수립절차와 초광역협력사업 지원 등을 규정했다.

시행령을 통해 초광역권을 설정한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상 5년 단위의 초광역권발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산업부 장관이 마련한 수립지침에 따라 관계부처 협의, 소속 지역혁신협의회 의견수렴을 거쳐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초광역권설정지방자치단체는 계획에 담긴 내용 중 중점적으로 추진하려는 초광역협력사업에 대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를 거쳐 초광역권 지역발전투자협약 체결이 가능해진다. 중앙정부는 재원의 확보와 국고 보조율 상향 적용을 통해 초광역협력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이어 오는 22일에 시행 예정인 시행령은 신설 공공기관의 입지결정 절차 등을 규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앞으로 공공기관을 설립하거나 신규 인가 시 비수도권으로의 입지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 또 입지로 검토되는 지역의 시‧도지사의 의견을 청취해 입지계획안을 마련한 후 국토부 장관 협의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입지를 결정해야 한다. 

정부는 법령 시행에 맞춰 지역의 초광역 연계·협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고 신설공공기관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우선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초광역권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지침을 올 하반기에 마련해 지방자치단체에 배포하고 국토부는 관계부처로부터 신설공공기관의 입지 결정을 위한 심의 요청계획을 제출받을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