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국토부가 철도안전을 위해 민간분야에 대한 개방을 시작한다.
16일 국토부는 일선 철도현장에서 시설유지보수, 차량정비, 관제 등 철도안전 전반에 대해 안전실태를 지속적으로 점검관리하기 위해 철도안전 민간자문단을 위촉한다고 밝혔다.
약 100여명으로 구성된 민간자문단은 최근 연이어 발생한 철도분야 사고에 따른 것으로 철도현장 안전수칙 및 안전규정 정상작동 등에 집중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철도안전감독관 20명과 철도차량, 철도교통 관제, 철도시설 등 분야별 민간전문가 100명을 포함해 기존 6개만 있었던 점검팀을 18개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현장점검 결과에 따라 안전수칙 등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즉시 조치하거나 시정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어명소 차관은 "철도현장에서 안전문화가 완전히 뿌리내릴 때까지 지속적으로 현장 점검을 추진할 예정이다"며 "안전은 그 어떤 것과 비교할 수 없는 최우선의 가치로, 철도조직이 안전을 튼튼하게 다지고 지키는 조직으로 새롭게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의 이번 조치와 함께 업계 안팎에서는 철도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민간분야 개방 목소리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 철도시설 안전관리의 경우 운용주체가 직접 수행함에 따라 폐쇄성 및 한계성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철도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는 철도를 운용하는 주체가 직접 담당하다 보니 사고에 대한 예방 및 대처가 한계적일 수밖에 없었다"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에 대한 개방을 하는 동시에 전문가 육성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사항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