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김성열 기자=부산시는 오는 22일부터 방재성능목표를 8.5~10.3% 상향 설정해 운용한다고 15일 밝혔다.
방재성능목표는 하수관로, 배수펌프장, 우수유출저감시설 등 방재시설의 설계기준과 재해영향평가 등 방재정책 수립의 기준이 된다. 5년마다 재검토되는 방재성능목표 상향은 도시지역의 강우처리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시는 12개 강우관측소에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면적비 가중치와 강우증가율·기후변화 할증률 등을 반영해 목표 강우량을 설정했다. 새롭게 산출된 방재성능목표는 1시간 이내 114㎜(기존 105㎜), 2시간 이내 160㎜(기존 145㎜), 3시간 이내 190㎜(기존 175㎜)다.
부산시는 지난 2020년 7월 폭우로 인한 동구 지하차도 인명피해, 2022년 힌남노 태풍 피해를 겪으며 기존 방재시설 능력으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보완하기 위해서다. 향후 부산시에서는 상향 기준을 적용한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사업, 우수저류 시설사업, 하수도정비사업 등의 방재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상하수도, 저류시설 등 물산업 분야 사업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방재시설을 재정비하거나 신설하면서 일거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발주 침체기에 활력이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상향예정인 방재성능목표는 기장군을 제외한 부산 시내 자치구 15개 구 전역에 운용된다. 기장군은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재성능목표를 설정해 공표했다.
어느 회사 업계 관계자인지 모르겠지만
지금 상하수도분야와 수자원분야는 발주 침체기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