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조사위, 방화대교 상판 붕괴사고는 人災
상태바
국토부 조사위, 방화대교 상판 붕괴사고는 人災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3.09.09 2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 “설계·시공·감리 총체적 부실”
새누리 김성태의원, “서울시, 7회 이상 현장점검은 형식적”

“지난 7월30일 발생한 방화대교 상판 붕괴사고는 설계-시공-감리의 총체적 부실이었으며, 특히 형식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 서울시가 이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

9일 새누리당 김성태의원은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분석결과 방화대교 상판붕괴사고는 설계·시공·감리 단계에서 총체적인 부실이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김 의원 측이 입수한 조사위 분석결과 곡선교의 내측 8t과 외측 242t의 하중이 매우 큰 편차를 갖도록 설계돼 교량이 전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였다고 밝혔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설계도면을 따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시공 단계별로 의무화된 구조안전성 점검 또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교량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포클레인과 덤프트럭, 방호벽 설치장비 등의 무게와 공사 중 발생하는 충격을 견디지 못해, 결국 상판이 뒤집어지면서 추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김 의원 측은 “조사결과 발주처인 서울시가 예산 문제로 감리원을 감축 배치해 제대로 된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시공계획서 미검토 등 관리·감독마저 불성실하게 수행된 것으로 밝혀져 서울시의 부실하고 불성실한 관리·감독이 화를 불렀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설계와 시공 상에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지만, 발주처인 서울시의 올바른 관리·감독만 이루어졌다면 안타까운 희생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라며, “서울시가 7번 이상이나 현장점검을 시행하고도 사고를 막지 못한 것은 서울시의 관리·감독이 얼마나 형식적이고 부실했는지 반증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김 의원은 “시민의 안전을 도외시한 박원순 시장이 모든 사고의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성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