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후보자 등록신청일 이후 발주량 폭발적으로 증가
선거철 예산남발, 업계는 선거 끝나면 ‘보릿고개’
선거철 예산남발, 업계는 선거 끝나면 ‘보릿고개’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상진 기자 = 지방선거를 앞두고 도로·철도·생태복원 등 지자체별 발주가 지난해 하반기 대비 평균 200여건 이상 폭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도시단지, 상하수도, 환경, 도로, 교통계획, 레저조경 등의 사업계획을 경쟁적으로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도시단지, 상하수도, 환경, 도로, 교통계획, 레저조경 등의 사업계획을 경쟁적으로 밝혔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지방선거 등 선거철만 되면 표심을 의식하는 정치권의 입김에 따라 예년에 비해 도시개발과 도로, 생태환경 등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발주량이 늘어나는 것이 상식으로 통용돼 왔다.
문제는 선거가 끝나면 늘었던 발주량이 반동효과로 되레 큰 폭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선거이후 인력유지와 사업수주에 어려움을 겪는 등 업계 전반이 보릿고개를 겪는다는 것이다.
이런 지적은 10일 본지가 엔지니어링산업의 입찰총액과 입찰건수를 날짜별로 분석해 본 결과 근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13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신청일이었던 2월 13일 이후, 예비후보자 등록이 활발했던 2월말과 3월 중순 사이 도시단지와 환경 등 '생활밀접형' 분야의 입찰건수와 입찰총액이 크게 늘었다.

특히 3월 한 달 사이 발주된 사업대가만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해 지난 2017년 8~10월 사이 발주된 총금액에 버금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는 “오는 6월 13일 치러지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앞서 각 지자체가 표심을 의식해 선심성 발주를 늘렸기 때문”이라며 “진정으로 시민의 주거환경을 고민한다면 선거철에 반짝 도로·항만·철도·공항·생태복원 사업을 남발할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공공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