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의 원활한 연구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 7개 기관이 손을 잡았다.
10일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등 중앙정부와 실증도시로 선정된 대구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등 지자체는 지난 7일 스마트시티 혁신성장 동력 연구개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 사업은 세계선도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개발해 실제 도시에 적용시키는 연구 사업으로 올해부터 22년까지 5년간 국토부 453억원, 과학기술부 390억원, 민간 267억원, 지자체 49억원 등 총 1,159억원 수준 연구비를 투입하게 된다.
새롭게 개발될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구현될 예정이며, 교통 ․ 안전 등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리빙랩을 에너지 ․ 환경 분야에 직접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 7월 실증도시로 선정된 대구광역시 및 경기도 시흥시는 지역거점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혁신성장에 적합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을 직접 구현하고, 도시에 적합한 각종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시민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 및 기술생태계를 구현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체결된 업무협약에서는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의 효과적인 추진과 실증도시의 성공적 연구 여건 마련을 위해 각 주체가 상호 협력을 강화를 위한 안건이 진행됐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의 주무기관으로 추진계획 수립, 사업의 관리 등 행정지원, 기획재정부는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의 협의-조정, 규제 및 제도 개선 등 지원 방안을 검토, 대구광역시 및 경기도 시흥시는 실증도시 시행 주체로서 연구 추진을 위한 기술검증, 데이터센터 운영, 시민 협의체 활동 등을 지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연구개발 사업을 총괄하며 실증 연구를 관리 및 지원하고,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스마트시티 ICT관련 분야의 기술자문을 수행하게 된다.
국토교통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의 핵심은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 및 처리하는 데이터 관리이며, 도시데이터 기반의 실증도시들은 세계적인 지능형 도시 관리 선도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