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지하안전관리계획 수립 '완료'
상태바
국토부, 지하안전관리계획 수립 '완료'
  • 이명주 기자
  • 승인 2024.12.30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향후 5년간 지하안전관리에 대한 기본 방향이 제시됐다.

30일 국토부는 제 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대규모 땅꺼짐 사고와 같은 지하안전사고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 것으로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지하안전정책방향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번 계획은 크게 예측-예방 중심 지하안전관리 체계 구축, 협력 기반 지하안전관리 현장 수용성 제고, 스마트 지하안전관리를 위한 기술 고도화 등 3가지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예측-예방 중심 지하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 기존 5년에 1회 진행되던 안전점검 주기를 1년의 2회의 대폭 늘리는 동시에 빈지하공간인 공동을 찾기 위한 조사 범위를 매년 4,200㎞로 확대해 2029년까지 2만㎞까지 탐사범위를 늘리게 된다.

협력 기반 지하안전관리 현장 수용성 제고 정책을 위해서는 정부업무평가 시 지자체 관리계획 수립여부, 지반탐사 실적 등을 평가해 정책이 실무분야에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이밖에 스마트 지하안전관리를 위한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는 연간 20억원의 R&D 개발 비용 투자 및 AI 표준모델 개발 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태병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국민의 발 아래를 안전하게 지켜 나가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