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10년마다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2008년부터 철도소외 지역에 대한 민자유치 경전철 건설계획을 수차례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6월말 현재, 총 10개의 예정 노선 중 신림선 1개만 민간사업자와 협상이 완료된 반면, 나머지 9개 노선은 노선연장 등으로 민간사업자 사업제안부터 원점 재추진되는 등 사업이 지연된 상황이다.
이에 이 의원은 “대중교통 인프라의 구축도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만큼, 공기를 맞추지 못하면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일단 결정한 사업은 계획대로 선추진, 후노선 변경 시행 등을 통해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8년 은평 새절~장승배기로 예정됐던 서부선 경전철 사업의 경우 발표 당시 사업제안자 두산컨소시엄이 있었고 2011년에는 제3자 제안공고 준비까지 했었다.
이후 서울시는 지역여론 등을 이유로 5년 단위 계획수정시점인 2013년 장승배기~서울대입구로 노선연장을 결정해, 절차가 2~3년 지연되다 올 6월 국토부로부터 최종 승인됐다.
이 의원 측은 현재 민간사업자의 변경사업제안부터 3년 이상이 소요되는 절차를 다시 밟아야해 2020년은 돼야 겨우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은평을 비롯한 서울 서북부는 열악한 간선도로망체계와 도로시설 공급부족, 시가지의 노후화에 따른 재개발 확산으로 교통사정이 갈수록 악화화되고 있다”며, “서부선 경전철 사업의 경우 서울시의 노선연장에 따라 2~3년 이상 지연된 만큼 빠른 착공을 위한 행정절차 단축 등 노력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뒤이어 “일부 은평구민들이 신사동삼거리까지 1개역 연장을 요구 중인데, 신사동 고개삼거리 0.8km연장에 최소 525억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제성 저하 등을 이유로 민간참여가 지연돼 사업이 장기 표류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의원은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민간사업자가 변경사업제안서 작성 과정에서 ‘경제적 타당성 검토를 동시에 시행’해 더 이상 사업지연이 없도록 조치해 달라”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