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완 의원, “지자체간 이견만으로 반려할 프로젝트 아니야”
(엔지니어링데일리) 이준희 기자 = 새누리당 김동완 의원이 “서해대교를 대체하는 대중국수출 관문 차원에서 당진~평택항 연육교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에 반영해야한다”고 주장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당진~평택항 연육교 건설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에 선정하지 않겠다고 해양수산부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재부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새누리당 김동완 의원은 강력한 유감을 전했다.
당진과 평택을 연결하는 연육교는 2006년도부터 추진돼 왔으며 지난 5월 해수부의 검토를 마치고 1순위로 기재부 예타조사 대상사업 심사를 요청했다. 또한, 상임위 예산심의 과정에서 사업의 필요성이 인정돼 26억원의 기본설계비 예산까지 책정된 바 있다.
김 의원은 “국회 최종심의과정에서 “기재부는 아직 예타 검토를 마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예산이 최종 반영되지 못했다”며, “당진시와 평택시의 의견이 다르다며 설계비 반영은 물론 예타 조사대상 사업신청도 수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예타 조사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은 사업의 타당성이 없다는 취지가 아니다”라며, “사업주체인 당진, 평택 양지자체간의 이해가 달라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양 지자체의 이견을 먼저 조정한 후 사업을 추진해야한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향후 당진~평택항 연육교 사업과 관련된 각종 이견들을 정부차원에서 검토하고 조정하는 절차를 거친다는 계획이다.
특히, 김 의원은 “서해대교 주탑케이블 단락사건으로 필요성이 대두된 대체도로 건설에 당진~평택항 연육교가 충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당진~평택항 연육교를 서해대교 대체도로로 건설하자는 의견을 총리실과 국민안전처에 전달해 검토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즉, 당진·평택항 연육교문제를 지자체간의 이견사업의 시각으로만 봐서는 안된다는 논리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앞으로 당진~평택항 연육교 문제를 대중국 수출의 전진기지인 당진, 평택항 발전 차원에서 검토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