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설계, 하면 할수록 엔지니어링사는 '마이너스의 손'
상태바
BIM설계, 하면 할수록 엔지니어링사는 '마이너스의 손'
  • 이명주 기자
  • 승인 2025.02.11 17:18
  • 댓글 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해지는 발주처 요구에 수익은 고사 손실만 급증
BIM 전면추진 정책 원점에서 재검토 필요성 요구 UP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사례 1. A엔지니어링사는 B 지자체로부터 BIM 설계 과업을 수주해 사업을 수행했다. 과업비용이 빠듯했지만 업무는 나름 원활하게 진행됐다.

하지만 문제는 과업이 중후반을 넘기면서 발생했다. B 지자체는 담당공무원들의 편의성을 이유로 BIM 설계 이외의 세부 2D 도면 및 추가 3D 도면 등 다양한 추가 작업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추가 업무들을 외주로 발주할 수 밖에 없었던 A엔지니어링사는 수억원에 그쳤던 수주금액 대비 수배에 달하는 비용을 재투입하고 사업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사례 2. C엔지니어링사는 턴키 사업에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수주했다.

C엔지니어링사는 컨소시엄의 설계사로 참여함에 따라 사실상 모든 설계 업무를 담당하게 됐다. 문제는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 BIM 설계까지 도맡게 됐다는 점이다. 

시시각각 변화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BIM설계를 시공현장에 대한 경험이 없는 엔지니어들이 담당하면서 업무의 효율성은커녕 혼선만 발생했고, 결국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던 엔지니어들은 이직을 알아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BIM 설계 정책을 두고 엔지니어링 업계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BIM 설계에 투입되는 사업비용이 수주금액을 크게 상회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설계 효율성 증대를 내세워 BIM 전면 시행을 주장하고 있는 정부 입장과는 정반대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BIM 정책이 실무현장과 괴리를 보이고 있는 원인에 대해 수발주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3D 기반인 BIM 설계로 인해 3D 설계는 물론 3D 기반이 되는 기존 2D 설계까지 담당할 수밖에 없으며, 시공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BIM 설계까지 엔지니어링사가 떠맡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발주처들이 내놓는 발주액은 기존 2D 설계 시절수준에 머물며 추가금액이 설계 엔지니어링사로 전가되고 있다.

엔지니어링 업계 관계자는 "BIM 설계가 발주될 경우 발주처는 정부의 권고에 따라 3D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인들의 업무 직관성을 위해 2D 설계도 요구하고 있다"며 "만약 5억원 규모 설계 사업을 수주시 3D 작업 및 2D 서류작업 등도 외주를 줄 경우 사업비를 넘는 금액이 투입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BIM 전면화 추진정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BIM은 개념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링 분야 보다는 세부설계를 사용하는 시공현장에 적합하지만 정책이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엔지니어링사들의 피해가 커질수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기반 여건도 마련되지 못한 정책을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했지만 책임은 엔지니어링사에게 돌아오고 있는 상황이다"며 "시공사 중심으로 되어 있는 맞지 않는 정책을 이어나갈 경우 엔지니어링사들의 고사 속도만 더 빠르게 앞당길 것이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5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2025-03-28 12:29:27
건설에서 bim이 필요한 이유는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bim은 도구이다
bim을 잘 활용하려면 기존의 시공현장에서 불편함을 아는사람들이 bim을 활용해 어떻게 편리하게 만들지 연구해야하고
bim을 스마트 기술등 활용할수 있게
새로운 편한 기술들이 규정에 맞겠금
지침을 내려야 한다
bim을 왜 설계사에서 담당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음
bim은 시공사가 주체가 되어서
시공의 생산성과 공기단축 품질향상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
그걸 공사를 모르는 설계사에서
bim설계 코딩을 짜고 있으니 이 악순환이 계속되는거야

2025-03-14 11:13:50
진짜 무슨 바람이 불어서 BIM BIM 하는지.. 프로그램 구입, 유지비만 해도 연 억단위.. 직원들 교육 시킨다고 시간 뺏겨.. 되지도 않는 기능으로 BIM 한다고 철야 작업... 직원들의 퇴사..
엔지니어링 업계 더 타락 시키는 정책같다.

ㅁㅁ 2025-02-23 19:36:14
진심 해본사람은 느낄껀데 bim 추진하는거 진짜 무슨 코메디 연극보는것 같음 ㅋㅋㅋㅋ
중앙부처에선 디테일한 시행책은 안내놓고 일단 bim전환하라고 던져놓고
발주처는 지들이 bim 보거나 사용할 능력도 없으면서 일단 정부 지침 때문에 bim 성과물 제출하라면서 결국 2d도면도 같이 제출하라 그러고 ㅋㅋ
시공사는 결국 bim이란게 따지고보면 시공에 더 도움이 되는 도구라고 볼수있는데 그저 설계사에 짬만 때리고

결국 bim대가는 못받으면서 짬처리는 다 당하는 설계사만 제일 불쌍

감리 2025-02-14 10:38:30
현 감리로서, bim에 대해 댓글을 보고 배우는 바가 큽니다. 결국에는 시공의 문제를 설계사에 넘겨, 시공에서 발생되어야 할 bim 비용을 설계사에 떠넘기는다는 거군요. 당연 시공 bim은 따로 비용을 줘야 할것 같네요.

설계 2025-02-13 11:49:18
설계단계에서 "BIM설계"라는 단어가 모순 아닐까요? BIM은 말 그대로 "정보가 들어간 3D 모델링"이니 설계시 검토하는 하나의 TOOL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간섭검토 등에 유용하게 쓰이긴 합니다만 각 공종별로 BIM 프로그램으로 설계를 진행하는 건 아니니 현상태에서 BIM설계라 함은 단지 3D모델링이라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에 최종 목표는 유지관리를 위한 모델링까지 가기 위함일텐데 실시설계에 포함시켜서 독박씌우는 느낌이 강하긴 합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