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전면추진 정책 원점에서 재검토 필요성 요구 UP
(엔지니어링데일리) 이명주 기자 = 사례 1. A엔지니어링사는 B 지자체로부터 BIM 설계 과업을 수주해 사업을 수행했다. 과업비용이 빠듯했지만 업무는 나름 원활하게 진행됐다.
하지만 문제는 과업이 중후반을 넘기면서 발생했다. B 지자체는 담당공무원들의 편의성을 이유로 BIM 설계 이외의 세부 2D 도면 및 추가 3D 도면 등 다양한 추가 작업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추가 업무들을 외주로 발주할 수 밖에 없었던 A엔지니어링사는 수억원에 그쳤던 수주금액 대비 수배에 달하는 비용을 재투입하고 사업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사례 2. C엔지니어링사는 턴키 사업에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수주했다.
C엔지니어링사는 컨소시엄의 설계사로 참여함에 따라 사실상 모든 설계 업무를 담당하게 됐다. 문제는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 BIM 설계까지 도맡게 됐다는 점이다.
시시각각 변화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BIM설계를 시공현장에 대한 경험이 없는 엔지니어들이 담당하면서 업무의 효율성은커녕 혼선만 발생했고, 결국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던 엔지니어들은 이직을 알아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BIM 설계 정책을 두고 엔지니어링 업계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BIM 설계에 투입되는 사업비용이 수주금액을 크게 상회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설계 효율성 증대를 내세워 BIM 전면 시행을 주장하고 있는 정부 입장과는 정반대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BIM 정책이 실무현장과 괴리를 보이고 있는 원인에 대해 수발주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3D 기반인 BIM 설계로 인해 3D 설계는 물론 3D 기반이 되는 기존 2D 설계까지 담당할 수밖에 없으며, 시공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BIM 설계까지 엔지니어링사가 떠맡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발주처들이 내놓는 발주액은 기존 2D 설계 시절수준에 머물며 추가금액이 설계 엔지니어링사로 전가되고 있다.
엔지니어링 업계 관계자는 "BIM 설계가 발주될 경우 발주처는 정부의 권고에 따라 3D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인들의 업무 직관성을 위해 2D 설계도 요구하고 있다"며 "만약 5억원 규모 설계 사업을 수주시 3D 작업 및 2D 서류작업 등도 외주를 줄 경우 사업비를 넘는 금액이 투입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BIM 전면화 추진정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BIM은 개념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링 분야 보다는 세부설계를 사용하는 시공현장에 적합하지만 정책이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엔지니어링사들의 피해가 커질수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기반 여건도 마련되지 못한 정책을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했지만 책임은 엔지니어링사에게 돌아오고 있는 상황이다"며 "시공사 중심으로 되어 있는 맞지 않는 정책을 이어나갈 경우 엔지니어링사들의 고사 속도만 더 빠르게 앞당길 것이다"고 지적했다.
bim은 도구이다
bim을 잘 활용하려면 기존의 시공현장에서 불편함을 아는사람들이 bim을 활용해 어떻게 편리하게 만들지 연구해야하고
bim을 스마트 기술등 활용할수 있게
새로운 편한 기술들이 규정에 맞겠금
지침을 내려야 한다
bim을 왜 설계사에서 담당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음
bim은 시공사가 주체가 되어서
시공의 생산성과 공기단축 품질향상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
그걸 공사를 모르는 설계사에서
bim설계 코딩을 짜고 있으니 이 악순환이 계속되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