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자유도 빼앗나” 10년차 이상 근속자에 PQ 만점준다는 조달청
상태바
“구조조정 자유도 빼앗나” 10년차 이상 근속자에 PQ 만점준다는 조달청
  • 조항일 기자
  • 승인 2025.05.19 11:12
  • 댓글 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0% 이상 보유해야 만점…“불가능한 수치”
“사실상 청년PQ 중장년층 버전”

(엔지니어링데일리)조항일 기자=최근 조달청이 한 회사에서 10년차 이상 근무한 재직자에 대한 PQ가점을 신설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엔지니어링업계는 신입 채용을 강제하고 있는 청년PQ 가점의 시즌2라며 개정안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19일 건설엔지니어링업계에 따르면 조달청은 적격심사 세부기준 신인도 개정안을 공개하고 의견수렴을 마쳤다. 주요 내용은 약자기업 지원 항목을 신설하고 여성기업에게만 적용하던 PQ 가점을 장애인기업까지 확대하는 안이 신설됐다. 또 정책지원 가점이었던 일생활균형 캠페인 참가기업, 가족친화인증을 올해 신설예정인 저출생 가점 대응 항목으로 변경하고 여기에 일생활균형 우수기업 가점을 신규 반영한다.

논란이 되고 있는건 장기간 고용유지 기업에 대한 가점 신설로 한 회사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재직자의 비율에 따라 가점을 주는 제도다. 세부적으로는 중소기업을 제외한 기업들은 10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의 비율에 따라 ▲50% 이상 0.4점 ▲40% 이상 0.3점 ▲30% 이상 0.2점 등을 부여한다.

사안이 공개되자마자 엔지니어링업계에서는 즉각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개정안이 근무지를 한 곳으로 제한하고 있는만큼 만점을 받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A엔지니어링사 관계자는 “경력 10년차로 했다면 문제가 없었겠지만 한 회사로 고정하면 얘기가 다르다”면서 “대형사라고 해도 10년 이상 근무자를 50% 이상 보유하고 있는 곳은 사실상 없다”고 설명했다.

B엔지니어링사 관계자도 “업계 특성상 보유 직원의 1/3 정도가 감리인데 이들은 이직이 잦다”면서 “사실상 설계 인력으로 비율을 맞추라는건데 우리 회사의 경우 18%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PQ기준을 적용하면 가장 유리한 건 지방 지역사”라면서 “상대적으로 인원도 적고 이직할 곳이 없는 상황이 되레 높은 점수를 받게 되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고용을 강제하고 있는 청년PQ의 중장년층 버전이라는 주장도 있다. C엔지니어링사 대표이사는 “청년PQ 대응책으로 일부 회사들이 임원급에 대해서 연봉삭감을 하면서 버티고 있는데 이제는 내보내지도 못하게 하겠다는 것인가”라면서 “신입은 무한대로 뽑으라고 하고 위에는 못나가게 막아놓는다면 회사는 망할 수 밖에 없다. 이게 고용안정이냐”라고 하소연했다.

기술력 이외의 것을 가지고 PQ 변별력을 주고 있는 정부가 시장은 물론 고용안을 망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D엔지니어링사 대표이사는 “일 잘하는 5년차와 실력없는 9년차 직원이 있다면 누굴 내보내야하는지는 명확한데 이따위 제도에서는 정상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라면서 “기술력을 가지고 변별력을 줘야하는데 복잡하고 아는게 없으니 이런 말도 안되는 발상이 나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하늘소 2025-05-20 11:27:17
구조조정자유? 사람자르는게 합법인가? 법에도 없는 구조조정을 마치 정당한 권리처럼 표현하네.
그리고 제대로 사람대접해주면 떠나나? 가둬놓은 물고기마냥 푸대접하니 떠나는 거 아닌가?
한때 모 회사에 한번 입사하면 퇴사자가 별로 없는 시기가 있었다. 물론 주주 바뀌고 대부분 물갈이 되었지만....
회사가 좋으면 기술자도 자긍심을 가지고 열심히 일하더라....

고인물 2025-05-20 08:55:16
경험에 의하면 한 회사 10년 이상인 사람들은 줄을 잘 잡아서 편한일로 빠진사람들 혹은 정치질이 뛰어나서 남은 사람들이고, 정작 능력있고 정치질 못한 사람들은 악성 프로젝트 맡아서 고생하다가 더 나은 연봉에 스카웃제의 들어오면 퇴사하는일이 다반사죠.
이제 비상주로 10년 다닌분들 신나겠네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치매걸린 어르신들까지..

10년차 2025-05-19 23:36:38
10년차 우대 좋은 정책이네요 프로젝트 끝난지 얼마 안되 내용 아는 사람이 아예 없는 회사와 그렇지 않은 회사 비교가 안되죠

지리산작두 2025-05-19 21:16:02
나쁘지 않은데...회사는 장기근속을 위해 떠나가는 직원들을 붙잡으려 애쓸거고 그게 복지가됐든 연봉이 됐든 어떤 방식으로든..그리고 기사내용에서 이직이 수도권보다 적은 지방 설계사가 가점을 많이 가져가는 게 메이저설계사들 사이에서 아등바등하는 지방중소 설계사에게 더 도움이 될 듯하고..

민태산 2025-05-19 16:04:15
우리는 매일같이 황금알을 하나씩 낳아주던 거위의 말로가 어땠는지는 어릴 적 동화책을 통해 익히 알고있다

정부는 엔지니어링 업계를 마치 공공재처럼 생각하고 있다
우리가 마시는 공기, 밝고 따스한 햇살, 딛고 서있는 땅, 밤하늘의 별... 모든게 공짜인 것 같지만
사실 세상 어느 하나도 공짜인 것은 없다

소중함을 모른 체 마구잡이로 쓰다보면 그 언젠가 모두 칠흑같은 진공상태를 유영하게 될 것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