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부실 PF사업장 LH전관 자리보전용 전락하나
상태바
LH, 부실 PF사업장 LH전관 자리보전용 전락하나
  • 이준희 기자
  • 승인 2013.10.29 1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현룡의원 “1.5억원 이상 고액연봉 전관들 사업부실 책임없나”
LH, " 공모 통한 민간인재영입 등 민간출자사와 협의할 것“

▲ 한국토지주택공사 국정감사 - LH공사 이재영 사장

LH공사 국정감사에서 LH 10개 PF사업장 중 4개 사업장의 지분법 누적손실액이 486억원에 달하고, 특히 부실PF사업장이 LH퇴직자들의 자리보전용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비난받았다.

29일 LH공사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은 공사가 택지개발지구내, 택지를 사업지로 제공하고 민간컨소시엄과 합동개발 방식으로 투자한 10개의 PF사업장 중 4개 사업장의 지분법 누적손실액이 486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성남판교 알파돔시티 412억원, 남양주 별내신도시 메가볼시티 62억원, 서울남부교정 비채누리 10억원, 그리고 광명역세권 엠시에타에서 2억원의 지분법 누적손실액이 발생하고 있다.

조현룡의원은 “이들 4개 부실사업장에 LH가 출자한 금액은 총 1,530억원으로 전체 출자금 6,054억원의 25.3%에 이르고 있다”며, “PF사업에서의 지분법 손실은 LH의 사업수행능력부족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니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고 밝혔다.

<PF 4개사업장 지분법 누적손실액 현황 / 출처: 조현룡의원실>

지구명(SPC명)

자본금

LH출자금(대체포함)

지분율

사업지 제공

설립연도

지분법손익

(단위:억원)

성남판교
(알파돔시티/알파돔자산관리)

4,637

1,290
실출자: 935

27.8%

O

’07년

-412

광명역세권
(엠시에타개발/엠시에타)

521

106

20.3%

O

’06년

-2

남양주별내
(메가볼시티/메가볼시티자산관리)

605

85

14.0%

O

’08년

-62

서울남부교정
(비채누리개발/배채누리)

291

49

16.7%

O

’08년

-10

이에 대해 LH 측은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 장기침체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일부 토지비가 연체 중이나, 매수자금융, ABS 금융기법 등을 활용해 2011년 이후 1조3,832억원을 회수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조 의원은 상황이 이러한데도 공사 퇴직 후 PF회사에 재취업해 억대 연봉을 받아가는 사람들도 있다고 비판했다. “PF사업 대부분이 총체적으로 부실한 상황에서 평균 1억5,000만원 이상 고액연봉 LH퇴직자들은 사업부실에 대해 아무런 책임을 지려하지 않고 있다. 부실 PF사업장이 자칫 LH퇴직자들의 자리보전용이라는 의혹을 살 수 있다.”

<LH퇴직 후 PF회사 재취업 현황 / 출처: 조현룡의원실>

회 사

성 명

PF회사

직 책

연봉(백만원)

LH퇴사일

퇴직전

직 위

PF 입사일

기본급

상여

(주)알파돔시티
자산관리

○○○

대표이사

168

42

210

‘11. 9. 5

이 사

‘11.10.17

메타폴리스(주)

○○○

대표이사

164

41

205

‘11. 7. 1

이 사

‘11. 8.25

○○○

팀장

91

23

114

‘04. 6. 3

부 장

‘04. 6. 4

메가볼시티 자산관리(주)

○○○

대표이사

144

36

180

‘13. 1.21

본부장

‘13. 1.29

○○○

팀장

90

23

113

‘08. 9. 2

팀 장

‘08. 9. 5

○○○

팀장

90

23

113

‘09. 2. 3

팀 장

‘09. 2. 4

스마트시티
자산관리(주)

○○○

대표이사

156

39

195

‘11. 7. 6

부문장

‘11. 7. 7

○○○

팀장

80

20

100

‘04.10.30

차 장

‘04.10.31

비채누리(주)

○○○

대표이사

136

34

170

‘12. 4. 5

본부장

‘12. 4. 6

이에 대해 LH측은 “PF사업의 투명한 관리 및 공공목적달성, 토지대금 안정적 회수, 출자사간 협의에 따라 공사직원을 PF회사 임직원으로 전출하고 있다”며, “향후 토지대금 회수 등 사업추진 상황을 고려해 공모를 통한 민간인재영입 등을 민간출자사와 협의 추진할 것이다"고 답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