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준도 학경력”↔“자격보다 입찰제도 차이” 엔산법 개정 논란 2라운드
상태바
“글로벌 기준도 학경력”↔“자격보다 입찰제도 차이” 엔산법 개정 논란 2라운드
  • 조항일 기자
  • 승인 2024.04.22 13:27
  • 댓글 1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3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국가 2024-04-27 12:08:58
학경력제도를 강화하면 누가 좋을까? 난립하는 엔지니어링업체로 회비를 받아 운영하는 협회?, 대학원 진학해서 석사, 박사 수요를 채울수 있는 대학?, 대학원생 증가로 대학원생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는 대학교수?, 과연 실무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링 업계에 전문분야 논문만 다룬 석사, 박사가 필요할까?

국가기술자격제도가 잘 운영될때만 해도 고졸자도 취업하여 경력을 쌓은후 기사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한후 지금은 기술사가되어 특급기술자로서 활동 잘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우리나라 출산률 저하 1등 원인이 무엇일까요? 대학원까지 졸업해서 30대에 사회에 진출하여 언제 애 낳고 뒷바라지합니까? 저라도 애 안낳습니다. 이공계 고졸자가 할수 있는 업무에 석박사라니요?. 국가 망치는 정책입니다.

무리수 2024-04-24 10:54:30
그럼 등급제 요건이 강화되면 아무도 반대 안하시려나, 고급은 기사+석사 이상 특급은 기술사+박사이상 이렇게 조정하면 아무도 반발 안할까요? 반박하면 반대사유는 뭘까요

엔지니어 2024-04-24 07:46:29
기사자격증도 없이 특급으로 올라가는게 말이되는가? 건설은 안전과도 직결된 사업이다. 이것을 기사자격증도 못따는 사람이 특급기술자 사업책임기술자가 되는게 맞는가?

기술자 2024-04-23 11:15:31
박사+경력20년 특급 승급 못한다고 하지말고 그정도 학력에 경력이면 기술사도 따야하는거 아닌가? 기사 정도는 따자~ 창피하게!

익명의엔지니어 2024-04-23 11:01:19
학경력만 본다고 하면 가뜩이나 지금도 실제로 일하는 엔지니어가 도로공사 등 전관경력점수 절대 못 이기는데 어쩌려고? 입맛에 맞게 경력 다 채워서 나오던데
엔지니어링데일리가 전관에 대해 비판하면서 기사낼때는 그래도 엔지니어 생각을 해주는구나 싶었는데...
결국 업주들 편이로구나~ 아쉽네

주요기사
이슈포토